14p. 결국 무의식이야말로 현생인류로서의 우리의 ‘마음‘의 본질을 이루는 것이며, 비대칭성의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논리적 능력은 이 ‘무의식‘의 작용에 협력하는 것일지언정 절대로 인류의 지적 능력의 본질이라고는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길고 긴 신화탐구의 여정이 끝이 났다.

‘카이에 소바주‘ 를 마무리하는 제5권은 시리즈 전체의 전개에중심적인 역할을 해온 대칭성‘ 이라는 개념을 하나의 공리계公理系(axiomatic system: 어떤 과학 영역의 근저를 이루는 근본 명제의 체계-옮긴이)로까지 발전시키기 위한 시도이다. 이 대칭성이라는 개념은 최근 1, 2년 동안 내 강의의 중심 테마를 이루어온 것인데, 사실그것은 내 사고 속에서 오랜 숙성기간을 거쳐 구체화된 것이다.
대칭성이라는 단어가 내 안에서 커다란 의미를 갖기 시작한 것은 박물학자 미나카타 구마구스南方能補에 대해 연구하고 있을 때였다. 숲의 바로크』(세리카쇼보, 1992)라는 책으
‘로 결실을 맺게 된 그 연구에서, 나는 처음으로 내 앞에 대칭성이라는 매력적인 개념이 서서히 부상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미나카타 구마구스는 생물학자로서 점균 연구에 몰두했고 인류학자로서는 신화적 사고와 더불어 즐겼으며, 자신의 사상을 통일하는 것으로서 ‘화엄경』의 사상에 의거해 삼라만상의 이해에 도달하고자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