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년 - 여자로 태어나 미친년으로 진화하다
이명희 지음 / 열림원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 미쳐야 미친다. 하지만 '미친놈'이라는 표현이 '미친년'이란 표현보다 어감이 좋은 건 불쾌하며 불공정하다.
 
 
 
不狂不及 - 미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미쳐야 미친다'라는 책을 본 기억이 난다.
 
  저자는 여기에 성별의 표현이 들어갔을 때 폄하된 느낌이 들어간다고 한다.
  
  미친년이 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미친놈이 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책에서 의미가 당당하게 받아들여지지만 글에 사회적 금기어로 인식되는 걸 편하게 적는건 많이 불편하다. 

  책에 크게 적어져 있는 표현 대신에 Crazy Woman(미친년)을 사용하려 한다.

    너무나 익숙해져 있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관행 속에서 가부장적 학대와 차별에 의한 여성들의 반응을 사회는 단순히 'Crazy Woman(미친년)'이라 함축해서 말한다고 이야기 한다.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여자에게 '나쁜 여자'라는 철퇴와 함께 숙청대상으로 비난되는 세태에서, 여자로 태어나 'Crazy Woman(미친년)' 소리를 듣는다는 건 진화의 증거이지 실패를 의미하는 건 아니라고 이야기 한다. 재생이 아닌 부활이라는 관점에서 'Crazy Woman' 소리를 듣는 건 당연하다고 한다.
 
   영어 표현에서 Crazy 하다는 표현에 미치도록 좋아한다는 의미가 있다는 걸 중학교 때 배운 기억이 난다.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상황에서 벗어나게 하는 건 사랑의 힘 중 하나라는 생각과 함께, 강하고 비난적인 느낌이 조금은 윤색된 느낌이다. 하지만 표현 자체가 강해서 내게 거부감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잉게보르크 바하만의 [나]인 제목의 시를 소리내어 읽어 보았다. 당당하게 자신의 삶을 추구하는 시적 자아가 마음에 들었다.  

  책에는 작가가 생각하기에 'Crazy Woman(미친년)'이라 생각하는 9인과의 인터뷰가 담겨있다. 격정적 어감에서 벗어나고, 페미니즘에 대한 본능적 거부감을 조금 덜어내고 보면 자기 삶을 진지하게 생각하고 치열하게 인습과 싸워온 9인의 여성이 아닌 '인간'을 만날 수 있다.

   책을 읽기 전에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맞춤책으로 여성에게 열렬한 지지를 받는 책이라 생각했다.  속 시원한 소리를 해 주는 소통의 도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강했다. 책을 읽고 조금 선입견을 벗어내니 새로운 모습이 많이 보였다. 편하게 읽어지지 않지만, 그들의 열정과 생각은 귀담아 들을만한 가치가 있다.


# 9인 9색, 당당함과 자기 선택의 공통점을 지닌 아홉빛깔의 무지개를 닮은 그녀들..

  트랭크 갤러리 작가이며 '미친년 프로젝트'를 진행한 박영숙 작가를 만남이 가장 좋았다. 깊은 좌절에 빠져야 미칠 수 있고, 다른 이들과 일한다는 건 다름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소리친다. 부당한 대우와 인식이 있다면 싸워서 이기라고 말하며 상처를 피하지 말고 싸워 이겨내 새살을 돋게하라고 주장한다.
 
  미친년은 곱게 미칠 수 없다는 표현이 와 닿았다. '전통 문화'에 억압된 틀에 벗어나려면 '제대로 미치는 것이' 중요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마녀 사냥' 뒤에 숨어있는 시기와, 직관적 통찰력의 사람에 대한 비난, 그리고 가난한 집 딸들보다 부잣집 딸들이 겪는 정신적 장애와 광기에 대한 시선도 신선했다.
 
  그리고 미친년을 美親蓮이라고 미화시키는 걸 거부하고 미친년일 뿐이다라고 말하는 부분도 동감했다. 금기와 여성의 성적 욕망 등 시간의 흐름에 변하지 않고 꿋꿋하게 자신의 생각을 견지하는 멋진 모습에 첫 시작이 나쁘지 않았다.

    글로리아 스타이넘, 김태연, 이브 엔슬러, 현경, 빅토리아 루, 묘지 스님, 윤진미, 유숙렬 등.. 현재 사회적으로 알려져 있고, 자신의 어려움을 극복해 낸 그들의 이야기는 아직까지도 배려가 부족한 한국사회를 사는 여성에게 작은 힘이 될거란 생각이 들었다. 9인의 여성들은 CEO, 페미니스트, 종신교주, 여성 사제, 스님, 예술, 저널 등
다양한 분야와 종교를 초월해서 '멘토'라고 불릴만큼 멋진 '인간'이다. 모두가 다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다.

  멘토는 한 명만 가져도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9인 중의 한 명도 없다면 다른 사람을 찾으면 된다. 하지만 멘토가 아니더라도 확고한 생각과 깊은 사색후의 행동한 모습들은 우유부단한 내게 많은 걸 얻을 수 있는 의미깊은 시간이었다.
 

'왜 여자 혼자 고민하는가?', '근본적인 여성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남자들이 삶의 주도권을 잡게 된 것은 여자도 책임이 있다.', '피를 보지 않으면 불행하단 말인가', '자신의 닮은 꼴을 열망한다는 것은 다른 꼴은 봐 줄 수 없다는 이야기다', '행복은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자신이 아름답다는 자신감이야말로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다.', '세상이 당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당신이 세상을 사랑하라!'
'이 땅의 모든 자식들에게 헌신하는 어머니가 성직자다', '온전히 미치면 나도 살고 남도 산다','아픔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잊는 것이다.' '인생의 주인공이 자기라는 깨달음만큼 중요한 건 없다', '인생의 고단함을 가족들에게 숨기지 말라.' '건강한 가족 안에는 건강한 남녀의 이야기가 깃들어 있다', '자신이 주인인 여자가 좋은 여자다.'
'세상 사람들이 다 말려도 내가 좋으면 무조건 올인이다.', '생을 축복으로 만들 수 있는 힘이 여성에게 있다.'

    그냥 제목만 듣기만 해도 많은 걸 이야기 해 주는 이야기는 깊게 읽을수록 더 깊게 다가온다.

  # 당당한 그들이 아름답다.

  갑자기 든 생각.. 잘난 사람을 욕하는 사람은 없다. '잘난 사람이 잘난 짓을 하는 건 재수가 없을 뿐 당연한 거니까.' '하지만 잘나지 않은 사람이 잘난 척 하는 건 견디기 힘들다.' 역시 문제는 '성별'의 문제가 아니라, '인격'의 문제는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다른 사람을 생각하기에 앞서, 내 스스로 '여러가지 편견'에 대해 당당한지, '남성'으로서 부끄럽지 않게 살고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답이 쉽게 나오지 않는다. 어쩌면 쉽게 답을 내리는 게 경솔한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의 편견이 답답한 '여성'에게, 우유부단하게 생각이 많은 이에게,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