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인희의 북유럽 신화 1 - 신들의 보물에서 반지전설까지, 시대를 초월한 상상력의 세계
안인희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2월
평점 :
# 재미있고 신나는 북유럽(게르만) 신화 나들이
세계 3대 신화중의 하나인 북유럽(게르만) 신화를 읽게 되었다. 그리스 신화는 많은 책과 편저자들과 번역자들이 많아 풍부하지만, 그에 비해 한국에 소개된 북유럽 신화에 관한 책은 그리 많지 않다. 반지의 제왕, 온라인 게임에 주요 이야기 원형인 게르만 신화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아 선택한 책이 안인희의 북유럽 신화였다.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 3부작의 테마별 읽기와 비슷한 책의 구성방식은 '출판사가 같기 때문은 아니였을까?' 하는생각이 들었다. 출판사의 편집 방식과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라는 책에서 읽었던 저자에 대한 신뢰감이 이 책을 선택하게 하였다.
주제별로 나누어진 신화의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는 깔끔하고 생동감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었고 재미있는 영화 한 편을 본 것처럼 시간은 훌쩍 지나가버렸다.
# 신화를 보면서 느껴지는 생각들..
북유럽 신화는 그리스 신화에 비해 문자화 된 시기가 길지 않다. 우리나라의 햇님 달님이야기와 같은 이야기에서 이야기의 공통된 힘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된다. 하지만 우리 문화에서는 해가 남성이고, 달이 여성으로 되어있는데, 북유럽신화에는 해가 여성이고, 달이 남성으로 되어있는 점에서 문화의 차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일주일에 나타나 있는 Wendesday와 Thursday가 오딘과 토르의 날이라는 뜻이였다는 점에서,
지혜가 가득한 오딘이 수요일에, 농업의 신인 토르가 목요일에 되어있는 점에서 우리가 쉽게 사용하지만 연유를 잘 알지 못하는 이야기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다.
무엇보다 북유럽 신화의 가장 큰 매력은 끝이 정해진 이야기라는 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미 곡절의 삶을 살아버리고 이제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이의 대한 일대기처럼, 예전에는 큰 위세를 떨쳤지만, 이제는 세상의 흐름에 의해 물러나 버린 고대사의 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뛰어난 영웅과 지혜를 가진 사람들이 많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들은 라그나뢰크로 향하게 된다.
멸망하게 된 원인이 로키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북유럽 신화의 아스가르크(신들의 세계) 내에 있는 로키에 의해서 벌여진 일들은 외부의 침입에 의해서 멸망한 것이 아닌, 우리 자신의 탐욕과 시기 , 질투에 의해서 벌어지는 모습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스 신화에 의해서도 알 수 있는 신들이 한 약속은 그 누구도 바꿀 수 없다는 이야기에서는 홍세화씨의 책에서 얼핏 나왔던 프랑스 사람들은 법 조항이 있어도 바꿀 수 있지만,
독일 사람들은 분명히 공지한 다음에 꼭 확인을 한다는 이야기에서, 그들의 투철한 질서의식의 모습 뒤에는 약속을 중요시하는 문화에서 시작된 건 아닐까 하는 엉뚱한 생각까지 해보게 되었다.
# 충분한 참고문헌과 자세한 용어 해설, 풍부한 참고자료 속에 담겨진 저자의 노력이 배어있는 책.
글만으로는 신화속의 인물들에 대해서 상상하기가 쉽지 않다. 풍부하게 담겨진 사진과 참고자료들은 입체적으로 대상을 상상해 볼 수 있게 하고, 보다 눈에 그리기 쉽고 편하게 책장을 넘어갈 수 있게 해 주었다. 1,2권에서의 용어설명과 출전, 참고문헌을 통해 생소한 용어를 쉽게 이해하고, 2권에서의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까지 실려있는 세심함을 느낄수 있었다. 출전들과 참고문헌을 통해 한 권의 책이 만들어지는데 담겨있는 저자의 충분한 정성도 마음에 전해져 왔다.
많은 책들이 나오지만 좋은 책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저자의 생각과 눈으로 바라보는 이야기 서술방식은 읽는 사람들이 풀어야 하는 숙제이지만, 이 책을 읽는 나에게는 문외한이 원전에 첫 발을 디딜 수 있게 하는 좋은 입문서였다. 또 다른 책들과 이야기를 읽으면서 생각의 힘이 커지면, 책에대한 평가도 달라지겠지만 이제껏 내가 접해본 책 중에서 가장 깔끔하고, 자료도 풍부한 책이였음은 부인할 수 없다.
이 책을 발판으로 북유럽 문화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이 가져지게 되었다. 북유럽신화를 바탕으로 한 게임과 영화에 빠진 아이들에게 게임을 더 재미있게 이해하면서 문화상식도 쌓을 수 있게 추천해 주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