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간열차 - 꿈꾸는 여행자의 산책로
에릭 파이 지음, 김민정 옮김 / 푸른숲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 덜컹거리기도 하고 연착하기도 하는 열차, 그 추억의 향수속으로..
버스보다 더 빠르게 집에 도착하는 KTX, 세계에서 제일 객석 사이가 넓은 쾌적한 환경의 새마을호,
덜컹거리지만, 스쳐지나가는 역 하나 하나를 살펴볼 수 있는 무궁화호. 그보다 더 오랜, 비둘기호, 통일호로 기억되는 통근 열차 및 아주 천천히 가는 열차가 있다. 작가가 경험한 열차는 불면의 행복을 간직하고 있는 야간열차이다. 때로는 정부의 검문과 열차의 우연치 않은 사고, 기관차에서 떨어져 버린 열차가 되어버리고
국경을 넘자 열차 바퀴의 간격이 달라져 바퀴 교환 작업을 해야 해서, 제시간에 가지 못한다. 빨리, 그리고 정확한 시간에 도착하기 위해서 타는 열차라는 관념을 넘어선, 천천히 그리고 풍경과 함께 호흡하는 통근열차의 추억을 생각나게 하는 매력을 야간열차에서 느낄 수 있었다.
# '작가' 자신의 이야기와 지나친 인용.
야간열차를 타면서, 몽골, 베이징, 알바니아, 모스크바 등 작가는 여러 곳을 여행한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의 흔적과 자신의 느낌을 이야기 하기도 하고, 체코에서는 프라하의 매력과 카프카에 관한 이야기를 나열하기도 한다. 어린시절 할아버지에게 들었던 추억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다. 열차 이야기를 하면서 자주 엿볼 수 있는 작가 자신의 생각과 이야기들. 많은 문학작품과 인용되는 영화제목들에서 작가가 많은 작품을 읽고 영화를 보고 문화를 느끼며 살아오고 작가의 생각도 알 수 있었지만, 때론 많이 불편하기도 하였다. 읽는 흐름이 끊어지는 느낌, 외국문화에 낯설기 때문에 겪는 문화의 차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더 불편했던 느낌은 아쉬었다.
# 그림을 통해 상상력 높이기.
끊어지는 흐름을 살려준 것은 각 장마다 나오는 그림이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각 열차의 모습과 관계되어진 그림들은 여러가지 상상을 하게 해 주었다. 오리엔트 특급열차의 모습을 생각해 보기도 하고,
너무나 세련되어 조금은 답답한 열차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때로는 여행가방의 모습을 보면서 그 안을 채우는 모습과 끌고 가는 모습 등 여러가지 다른 모습들도 떠올릴 수 있었다. 그림이 상상력을 제한한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때론 막연한 느낌을 그림이 채워주기도 한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 통일이 되면 해보고 싶은 열차로 떠나는 여행.
통일이 되면 한국에서 유럽 끝까지 이어지는 열차가 생긴다고 한다. 물론 화물열차가 그 위주가 된다고 하지만, 열차만으로 여러 곳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소망해 본다. 버스에서 보는 야경의 모습과 기차에서 보는 야경의 느낌은 사뭇 달랐다. 피곤함에 잠을 청했다가 눈을 떴더니 창 밖에 해가 뜨는 모습이 보인다. 해도 천천히 서쪽을 향해서 움직이기 시작하고 나 또한 열차의 바퀴에 기대어 정해진 곳으로 이동해 간다.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우등버스의 매력이 있지만 버스에서는 발을 쫙 펴고 누울수는 없다. 기차만의 매력을 잘 살릴 수 있는 야간열차를 해 볼 수 있는 경제력이 되는 그날에, 열차만으로 세계곳곳을 다닐 수 있게 세상이 조금 더 평화로워지기를 꿈꾸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