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택의 조건 - 사람은 무엇으로 행복을 얻는가
바스 카스트 지음, 정인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10월
평점 :
여성들이 불행한 까닭은?
여성이 불행한 이유는 여성에세 아내가 없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실험을 통해 발견된 사실이 있다. 우리는 선택의 가지수가 늘어날 수록 깊은 고민을 하게 되고 선택이 가지수가 배로 늘어나면 늘어난 만큼 구매욕구는 커진다. 그런데 어느 일정한 양부터는 포화상태가 되고 다시 소강상태로 접어들며 선택지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마음이 불안해지는 부작용을 낳는다.
우리집에는 다른 집들과 달리 남편과 아내의 역할이 바뀐것을 마트에 가면 더 느끼게 된다. 물건을 대충고르는 아내인 나는 얼른 답답한 공간에서 벗어나려고 하는데 비해 더 꼼꼼하게 사은품을 챙기는 남편은 시간을 거의 보지 않는다. 그만큼 쇼핑하는 데 티격태격하게 된다. 그리고 놓친 물건에 대한 아쉬움도 늘 있다.
우리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행복하다고 생각하지 않은가?
저자가 예를 들어 설명하는 실험도 그렇지만 특히, 아미시파 (미극의 여러 주에 살고 있는 급지적인 개신교파 신앙공동체)의 친밀한 인간관계가 삶의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건강을 위해 조심하지 않는 사회, 보험을 들지 않고 의료보험에 들지 않아도 걱정이 없는 사회, 실업자가 되어도 이들을 돕는 것은 공동체라는 현재 자본주의에 사는 사람이라면 전혀 상상할 수 없는 그런 곳에서 벌어지는 놀라운 결과를 보고 말이다.
나는 친구가 필요합니다.
영화 프랭크슈타인에서 외로움을 견디지 못하는 것은 인간이거나 그렇지 않거나 모두 같다는 것을 보았다. 나를 위해 누군가 앞뒤가리지 않고 달려와 줄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그 어떤 돈과 명예와도 바꾸지 않으리라.
p 225
익명성을 띠는 현대사회에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어느 정도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데는 세가지 전략이 있다. 높은 지위, 돈, 유명해 지는 것이 그 세가지 방법이다.
현대사회의 극단적인 면을 보여줌으로써 스스로 소외되지 않고 행복해 질 수 있는 방법으로 저자는 삭막하게 경쟁하는 대신 , 우정과 사회적 참여 그리고 가족에 더 높은 가치를 부며하면, 다수에게 훨씬 더 좋은 여건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한다.
빠르게 변화되면 더 행복해질 거라는 것은 이미 그렇기 보다는 선택하는 데 어려움으로 인한 혼란만 가져왔고 그로인해 우리는 행복을 느낄 시간도 없이 또 시간을 허비하고 잠시나마 행복이란 단어를 떠올리지 못하는 요즘, 우리가 진정 누려야 하는 것은 다름아닌 나와 나를 둘러싼 이들과의 친밀한 상호관계였음을 깨닫게 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