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보일드는 나의 힘 - 잔혹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김봉석의 하드보일드 소설 탐험 1
김봉석 지음 / 예담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는 책이라면 가리지 않고 읽기를 주저하지 않는 내게 어느날 우연히 읽게 된  소설 <화차>는 미야베 미유키여사와의 첫만남이자 곧 내게 하드보일드 소설의 첫사랑과도 같은 책이다.  잊으래야 잊을 수 없는 날카로운 추억이 담긴 책이다. 책을 읽고 한참 뒤에 남겨진 여운이 유독 길게 진다. 세상은 내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비정하고 무섭고 정말 크다는 사실을 알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첫단추를 잘 끼운 나는 인터넷 서점의 칼럼도 일부러 찾아 읽고 정보를 얻기도 한다.  물론 입소문이 나서 유명해진 것은 기본이고 작가가 추천한 경우에는 더 크게 눈이 커지기 마련이기에 메모해 두었다 잊어버리기 전에 읽어본다.  부단한 노력에도 늘 허기를 느끼고  그래서 이젠 그만두려고 헤어나 올 수 없다. 왜 그런지 알지도 못하면서도 늘 빠져있고 읽을 수록 또다른 이야기를 기다리게 하는 하드보일드.. 보일드는 피를 끓는 느낌이 주는 것이리라 혼자 해석하곤 했는데..

 

   영화잡지에서 익숙한 영화평론가 김봉석님의 칼럼을 인터넷 서점 칼럼에서도 볼 수 있어서 좋았는데 이렇게 책으로 나오게 되니 내 마음이 푸근하다. 영화평론가가 읽은 하드보일드라는 장르는 어떤 책들로 채워져 있을지 무조건 궁금하다.

 

  우선 어떤 책들로 서재가 가득 차 있는지 둘러보니 하드보일드의 거장들의 대표작, 벌써 영화화된 원작들, 다소 거칠고 무서운 표현에 거리감이 있긴 하지만 읽고 나면 사회의 부조리한 면을 냉철하게 표현한데 감탄을 하게 했던 책들까지 두루 섭렵한 데 놀라고 부터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미미여사다음으로 좋아하는 기리노 나쓰오의 <아웃>은 세 여자의 살인사건을 둘러싼 고달픈 세 여인의 삶의 지친 모습이 단순히 언제 들킬지 모를 긴장하게 만들었는 데 그치지 않고 주인공 각자의 내면의 표현을 다시 읽어보고 싶게 한다.

 

  얼만전 읽은 마쓰모토 세이초의 <짐승의 길>은 지금과 꽤 시간차가 나는 책임에도 전혀 낯설지 않은 듯한 인간들의 선택과 갈등하는 이야기의 전개가 시간가는 줄 모르게 읽었다.그럼에도  왜 제목이 짐승의 길인지 사실 알지 못했는데 이 책을 통하지 않았다면 깔금하게 이해하지 못할 뻔 했다.

 

 약해져도 좋다.

 어떻게든 살아남아라

 

   극한 상황, 도저히 해결 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데도 하나의 단서만으로도 충분히 빠져나오는 인간의 의지를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한 후의 후련함은 먹으면  건강에는 좋지 않지만 시원함만은 끝내주는 청량료의 그것에 비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하드보일드의 제일 큰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사실 일본작가들의 비해 재미를 덜 느꼈던 마이클 코넬리, 제프 린제이등의 책들도 다시 도전하고 싶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