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베르터의 고뇌 창비세계문학 1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임홍배 옮김 / 창비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은 읽긴 읽어야 하는 데 언제가 읽겠지 하면서 미루게 되는 그래서 사놓고 책장에서 먼지를 뒤집어 쓰게 마련이다란  인문학  강사의 말이 공감이 간다.

 

   왠지 다 읽은 것 같아 이름은 꽤나 친숙하다. 괴테도 젊은 베르테르도 그렇고 언젠가 꼭 읽겠지 했는데 이미 30이 훌쩍 넘고 40대가 코 앞인 이 시점에 들어서야 그 날이 오고 말았다.

 

  제목도 낯선 <젊은 베르터의 고뇌>(2012. 10 창비)는 오래된 책인냥 파스텔톤의 비교적 두껍지 않다.  고전을 고를 때  어떤 출판사냐 내지 번역이 어떤지 먼저 눈에 들어오게 마련인데 엄밀하고 적확한 번역으로 새롭게 탄생한 고전이라는 띠지 문구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사실 읽기도 전에 짧은 상식으로  로테는 굉장히 이뻤을 거야 베르터는 키도 훨친하고 잘생긴 훈남이었겠지 마치 사랑은 그런 자격이 있는 이들의 것이니까 라고 혼자 짐작하고 상상했다. 

 

  역시 제목이 슬픔보다는 고뇌가 맞는 어울린다. 시작부터 베르터는 25살의 나이가 그렇듯 고민에 고민으로 시작해서 끝날때에도 이루지 못할 사랑과 로테에 대한 사랑을 고뇌하다가 생을 마감하니까.

 

  발하임, 그녀 로테를 만나게 된 그곳에서 베르터는 한눈에 그녀를 보고 반한다. 여덟이나 되는 동생들에게 일일이 빵을 떼어주는 모습에서 사촌들과 그녀가 나눈 대화를 듣고 솔직하고 다정한 그녀의 모습은 반하지 않을 수 없다.

 

 이미 약혼자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녀를 볼 수록 빠져드는 베르터, 한쪽에서는 그러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녀에 대한 사랑은 그녀를 만나고 온 하인의 얼굴과 뺨, 저고리 단추와 외투의 옷깃에 그녀의 눈길이 닿았을 거라고 생각하는 그 모든 것도 아름답고 소중하게 생각될 만큼 간절하다.

 

  고민에 빠진 베르터는 결국 그녀를 떠나지만 다시 돌아간다. 이미 눈치를 챈 그녀의 남편(베르터가 떠나 있는 사이 이미 부부가 된) 알베르트는 그녀에게 충고하고 서먹해진 로테에게 베르터는 절망하게 된다. 결국 자신의 글을 낭독하고 미처 고백하지 않은 자신의 마음을 전하지만 돌아오는 것은 냉정한 로테의 태도이다.  그녀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가 유서가 되고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곳에서 그녀를 기다리겠다는 절박한 젊은 베르터는 알베르트에게 빌린 권총으로 자살을 한다.

 

  놀라운 사실은 이 글이 자신과 직장상사의 아내를 사랑했던 친구의 자살을 모티브로 삼았다는 것과  무엇보다 서술방식 자체가 날짜를 적은 서간체 소설이기에 마치 읽는 이에게 호소하는 듯 하기에 주인공의 처절한 심정이 고스란히 전달 된다는 점이다.

 

  고전한 편을 읽어서 기분이 좋은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대를 초월해 인간이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은 별 차이가 없구나 새삼 느끼게 된 1+1의 효과까지 느낄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