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바람돌이 > [퍼온글] 대단한 책이 또하나 나오다
살아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 청소년과 함께 살아숨쉬는 21세기 대안교과서 살아있는 휴머니스트 교과서
김육훈 지음 / 휴머니스트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김육훈 샘이 또 한건 했다. 어느 시절에 이런 작업을 했나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 책은 나오지 않았지만 그의 이름 석자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가 있을 거란 생각을 한다(너무 심한가 -.-;;;) 하여간 지금까지는 그랬다.

그가 이 책의 서문에 올린 글이라고...


1.
“차라리 독립운동이 없었으면 좋겠다?”
언젠가 교과서로 독립운동사를 공부하던 학생이 한 말이다. 삶과 죽음의 갈림길을 넘나들며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이들의 역사가 이렇게까지 읽힌다는 것은 정말이지 가슴 아프다.
수많은 인물과 사건이 등장하지만 사람의 숨결도 사건의 역동성도 느끼기 어려운 교과서. 아이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무엇을 알고 싶은 지 관심 없이 그저 저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만 무뚝뚝하게 풀어놓은 교과서가 가져온 비극이다.
아이들은 한 페이지에도 수없이 등장하는 인물과 그들이 속했던 단체를 암기하는데 급급하다. 맥락이 설명되지 않은 수많은 사건의 나열 속에서, 아이들은 왜 이렇게 많은 사람이 여러 갈래로 독립운동을 했는지 원망스러운 마음도 일어날 듯하다.
교과서가 늘 가까운 곳에 두고 싶은 소중한 역사책일 수는 없을까? 편하게 읽다보면 어느 새 그때 그 현장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없을까? 그때 그 곳에서 일어난 과거로서의 역사가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만들려던 목소리를 되살리고, 새로운 미래를 탐색하는데 도움되는 독서는 과연 불가능할까?

2.
미래는 어느 날 갑자기 우리 앞에 던져질 그 무엇이 아니다. 미래는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가, 자신이 바라는 미래를 만들기 위해 땀흘리며 만들어가는 것이다.
오늘 우리가 사는 현재 역시 마찬가지다. 그저 그렇게 주어진 듯 보이는 현재도, 여기까지 오는 과정에서 무수히 많은 사람들의 땀과 눈물이 배여 있다. 역사 공부는 그들의 흘린 땀과 눈물을 기억하고, 그들의 걸음걸음에 담긴 의미를 지금 다시 살려보는 과정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시간을 다루는 근현대사는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그 동안 우리가 성취한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우리가 걸어온 길과 가지 않은 길을 확인하는 과정이야말로,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새로운 미래를 모색하는 과정이다. 과거야 말로 오래된 미래가 아닌가.

3.
‘살아있는 교과서’라 이름붙인 것은 교과서가 독자를 향해 살아있어야 한다는 소망을 담고 싶어서였다.
편안하게 읽을 수 있도록 글을 쓰려 했고, 여러 종류의 시각자료를 잘 디자인하여 보는 것으로만 시대와 삶을 읽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단원의 도입에서 마무리까지, 책의 처음에서 끝까지 일관된 시각을 유지함으로써 책 읽기가 생각하기로 이어지길 바랬다.
우리 근현대사에 등장하는 수많은 사건과 사람, 수많은 역사적 사실을 분명한 주제의식-큰 흐름 위에 배열하기는 쉽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무리한 곳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큰 흐름을 이해하고, 인간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교과서여야 한다 생각하고 용기를 냈다.
‘살아있는 교과서’란 이름에는 역사가 살아있어야 한다는 소망도 담겨있다. 이 책에 실린 모든 이야기는 질문을 담고 있다. 모든 단원에서 한국사를 세계사적 맥락에서 살피고, 다른 시선으로 우리 역사를 보려는 꼭지를 담았다. 단원의 끝을 ‘과거를 향해 질문을 던지다’는 꼭지로 매듭한 것도 그래서다.
역사는 오늘 이 곳에서 살아있어야 한다. 역사 공부는 과거에 대한 지식을 얻는데서 그치지 않고, 새로운 미래를 만들기 위해 자신을 향해, 그리고 자신과 생각이 다른 이들과 함께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4.
이 책의 단원 구성은 교과서나 흔히 보는 근현대사책과 조금 다르다. 국권을 상실한 1910년이 아니라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구성을 기준으로 단원을 나누었다. 많은 책이 1945년 이후 역사를 한 단원으로 하거나 매 10년을 한 단원으로 삼는데 비해, 이 책은 해방에서 1960년 무렵까지를 한 단원, 1980년대 후반까지를 또 한 단원으로 삼았다.
근현대사의 시기 구분을 새롭게 해본 것이다. 근대와 현대를 민주주의란 일관된 흐름으로 파악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첫 단원은 새로운 국가 체제를 모색하고 신분제를 폐지하는 과정, 둘째 단원은 전제 군주제가 지양되고 민주공화정에 합의하기까지, 셋째 단원은 일제와 싸우며 민주공화정의 내용을 탐색하는 과정을, 넷째 단원은 민주주의의 제도화와 분단이 이에 미친 영향을, 다섯째 단원은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하는 과정과 그 특징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갔다.
민주주의, 공화주의야말로 오랜 세월의 분투를 통해 달성한, 그래서 어느 누구도 되돌이킬 수 없는 우리 모두의 현재임을 확인하고, 민주공화국이란 무엇인지를 끊임없는 성찰의 대상으로 삼자는 뜻에서였다.
결과적으로 정치․ 경제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으나 일상의 삶과 관련된 사회․문화 관련 내용도 비중 있게 다루려 하였다. 과학기술과 삶의 변화, 한국사와 세계사의 관련성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각 분야의 이야기를 큰 흐름 속에 담으려 노력했다는 점이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가 각각 서로 관련을 맺으며 발전하기 때문이다.

5.
올해로 역사교사를 시작한지 21년이다. 부족한 이 글은 그 동안 아이들과 대화하고, 부족함을 느낄 때마다 자료를 찾아 공부하며, 함께 역사를 가르치는 선생님들과 나눈 소중한 대화의 산물이다.
그 동안 내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수시로 나를 일깨워주었던 학생들, 역사교육이 조금이나마 달라졌으면 하는 희망으로 어려운 길을 함께 걸어온 전국역사교사모임 선생님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집안 곳곳을 먼지투성이 책으로 채워 알러지와 전쟁을 벌이는 가족에게도 미안함과 감사의 뜻을 전한다.
감히 ‘살아있는 교과서’란 말을 써도 되는지 두려움이 없지 않다. 그러나 교과서는 살아있어야 하고, 역사도 살아있어야 한다는 소망이 또 한걸음을 내딛었다는 점에서 약간의 자부심도 있다. 이 책을 읽는 이들과 우리가 함께 만들어갈 미래에 대한 토론의 장이 열리길 소망한다.

2007. 4
역사교사 김육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