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글쓰기 할 때 제일 어려운 것이 띄어쓰기이다.

 

띄어쓰기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띄운다"는 원칙인데, 사실 이 원칙이 의미가 없더란 말이지.

 

일률적이지 않고 예외가 너무 많고 수많은 접두사와 조사와 단어 사이에서 띄우기와 붙이기는 미쳐 다 알지도 못하겠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띄어쓰기, 이것 하나만 가지고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한 학기를 강의하는 경우도 거의 없다.

많은 예외로 인하여 너무 쉽게 틀리는 문제에서 이런다고 해서 별도로 배우지도 않는다. 아니 배울 기회조차 없다.

 

철자라든가 문법이라든가 특별히 틀릴 수야 있지만, 띄어쓰기에서는 너무나도 쉽게 틀린다.

(이 글에서도 띄어쓰기에 대해서 틀린 부분이 많아서 인공지능의 힘을 빌려서 교정을 보았다.)

 

단어와 단어를 띄워야 하는 문제는 단어를 붙쳤을 때 가독성이 나빠지기 때문일 것이다.

즉, 쉽게 읽기 위해서 띄우거나 붙이거나 하는 목적이다.

 

그런데 이제는 띄어쓰기의 문법이 가독성과는 전혀 관계없는 규칙까지 만들었다는 문제다.

 

자국민이 글을 쓸 때 띄어쓰기라는 아주 기초적인 문제에 스트레스를 받고 헛갈려 하고 어려워해서야 되겠는가?

여타의 국문법도 상당히 어려운 마당에 가장 기초적인 띄어쓰기 조차 어려워서야 되겠는가 말이다.

 

영어처럼 무조건 단어 사이에 띄우는 경우는 예외가 거의 없다.

그러니 영어에서 띄어쓰기는 전혀 문제가 안 된다.

 

일어는 어떤가. 대부분 단어를 붙인다.

얼마나 간편 간단한가.

 

그런데 우리 모국어인 국어에 대체 국어학자들이 무슨 짓을 한 건가?

예외를 너무 많이 만들었다.

 

일률적이지도 않고 건건이 붙쳐야 하느냐 띄워야 하느냐에 고민을 하게 만들었고 그 많은 예외 사항들에 건별로 별도로 공부해야 하니 시간 낭비가 너무 많다.

 

국어의 오래된 문서를 보면 띄어쓰기가 없다.

가독성이 낮았다는 뜻이다.

가독성을 올리기 위해, 읽기 편하기 위해 만든 띄어쓰기가 이제는 띄울까 말까 갈등해야 하는 올가미가 된 거다.

 

글을 쓰다보면, 국어가 너무 어려운 것이 절절히 느낀다.

이에 인공지능의 힘을 빌려 맞춤법 검사기를 돌려 보면 얼마나 틀린지 바로 표시해준다.

 

인공지능도 가끔 틀린다. 우짜(어쩌)란 말인가.

 한 줄을 써도 어떻게 맞는 구석이 하나도 없냐.

 

국어를 무슨 수수께끼급으로 만들어 놓은 게 누구 탓인가?

국어의 시작부터 너무!~~~~잘못 배웠다.

 

 

 

 

아참, 예를 하나 들자.

 

국세법 공부하신 분들은 알 거다.

세금에서 예외조항이 너무 많아서, 세금 적용이 담당자마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의 해석이 다 다른 경우가 많다라는 점.

 

이것 때문에 세무조사 나오면 담당자에 따라서 봐줄수도, 탈탈 털릴 수 있다는 거다.

얼마나 웃끼냐.

법률이 정확해야 하는데 예외가 너무 많으니 경우에 따라 다 다르거든.

 

그래서 이것을 이용해서 누구 미운놈 하나 생기면 세무조사 나간다.

얼마든지 털 수 있는 이유다.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책을 세무조사하듯이, 문법조사하면 다 털리는 수가 있다.

참 어처구니 없는 국어 아닌가?

 

세종께서 국민이 편하고 쓰기 쉽도록 만든 게 한글이라는 언어를  문법으로 꾸겨 넣고 다시 난해하게 만들어 버렸다. 그러라고 만든 게 아닐텐데 말이다.


댓글(41)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곰곰생각하는발 2016-06-02 12: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예외 조항이 많으면 그건 문법이 아니죠... 차라리 모든 단어 붙여쓰기했으면합니다.

yureka01 2016-06-02 12:14   좋아요 1 | URL
예외조항 좀 줄이든지 없애든지 원칙하나만 통용하던지..아 진짜...교정기 돌려보니 ㅎㅎㅎ기막혀서요..개화기 이전엔 띄어쓰기가 없었다고 하더군요.

전문 교정가 정도 수준 아니면, 거의 대부분 다 틀리는 문법이 무슨 문법인지...

아무 2016-06-02 12: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띄어쓰기의 대원칙은 ˝단어는 띄어 쓰되, 조사는 붙여 쓴다.˝인데, 여기서 형태는 똑같은데 의존명사/조사로 통용되는 경우도 있고 해서 엄청 골치 아픕니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도 띄어 쓰되 붙여씀도 허용하는 건데, 계속 붙여쓰다가 합성어로 굳어지면 무조건 붙여야 돼요. 이 기준도 엄청 모호해서 일일이 사전 찾는 거 말고는 답이 없습니다..ㅠ
영어에서 띄어쓰기를 원칙적으로 하는데 한국어는 안 되는 건 영어는 어형이 변하는 굴절어고 한국어는 교착어라 어디까지 띄어쓸지 논란이 항상 생기죠. 같은 알타이 제어인 일본어는 배운 적이 없어 잘 모르겠습니다만.. 아무튼 전공자 입장에서도 되게 까다롭습니다...

yureka01 2016-06-02 12:17   좋아요 0 | URL
하물며 저같이 국어를 심도 있게 배우지 못한 사람의 글쓰기란 정말 고역입니다.
그렇다고 일일히 사전 찾아가며 맞춰가며 쓸 수도 없고....난감 합니다.

2016-06-02 14: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2 14: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1: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2: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3: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5: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6: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20: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2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4 14: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4 15: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4 16: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4 21: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5 11: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수퍼남매맘 2016-06-02 15: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띄어쓰기 진짜 어려워요.

yureka01 2016-06-02 16:05   좋아요 0 | URL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았다면 ..한두 군데는 다 틀리는 현실....

cyrus 2016-06-02 16: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글 한 편 쓸 때 항상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합니다. 가끔 프로그램이 안 될 때가 있어요. 그래서 이거 안 쓰고 글을 업로드하면 중요한 게 빠뜨린 것 같은 허전한 느낌이 들어요. ㅎㅎㅎ 그런데 제가 생각해도 공감되지 않은 교정 내용이 있어서 완전히 믿진 않습니다. ^^

yureka01 2016-06-02 16:44   좋아요 1 | URL
아고 .긴 리뷰 올릴 때 반드시 검사기 반드시 돌립니다.
그런데 이 검사기 마져도 가끔 오류가 나더군요.
검사기도 한글 워드 검사도 또 돌립니다.
그런데 검사기마다 결과가 다른 경우가 있었어요..ㅋㅋㅋ

시이소오 2016-06-02 17:0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동감입니다ㆍ가끔씩 `왜 띄어써야하지` 의문이 생겨요.
아버지가방ㅇㅔ들어가는경우는거의
없거든요ㆍ 특히나 숫자관련해서는 한글자씩 다 띠어써야 되는데
쓰다보면 바보가 되는것같아요^^

yureka01 2016-06-02 17:13   좋아요 1 | URL
글을 좀더 쉽게 뜻이 잘 전달 되도록 띄어쓰기를 하게 된 것이
오히려 글쓰기를 제약하는 독이 되었습니다.

누가 아버지가방에들어간다고 하겠습니까.

아버지께서 방에 들어 가신다고 하거든요..맞아요.

˝아버지가방에들어간다.˝식의 띄어쓰기 오해는 한번도 못 봤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6-06-02 17:2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한문장이 끝나면 그때 띄어쓰기 하고 한문장은 그냥 붙여쓰기하는 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yureka01 2016-06-02 17:57   좋아요 2 | URL
그러게요..제일 간편한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2016-06-03 12: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2: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5: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15: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20: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3 21: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4 14: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4 15: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4 16: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4 21: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05 11: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12 10: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12 19: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6-30 22:0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