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앵두를 찾아라
배혜경 지음 / 수필세계 / 2015년 11월
평점 :
알라딘 서재 사이트 이웃인 프레이야(배혜경)님이 산문집을 냈다는 기쁜 소식을 접하고 축하 인사도 건네기도 했는데, 최근에는 책 선물까지 불쑥 내밀어 주셨다. 그래서 그런가 보다. 저자의 사인이 들어간 책은 더욱 각별하다. 반갑게 책 선물 받았더라도, 나는 별도로 직접 구매도 했다. 받는 건 받는 거고, 독자로써 많이 팔렸으면 하는 바람이어서 구입도 했으니 한 권은 오프라인 친구에게 선물로 다시 나누고 싶었다.
산문집이라서 그런지 전체적으로 일상적인 이야기가 달달하다. 게다가 적당한 시적인 은유도 곁들여서 일까, 부족하지도 그렇다고 과하지 않는 양념이 적절하게 뿌려져 있었기에, 평정한 느낌으로 담백하게 읽었다. 어떤 개인 일상사의 거창한 대하 서사시와 같은 중압감도 없이 산문집의 특징답게 부담 없이 읽고 사람 사는 일에 대한 모든 소시민이 느낄 만한 주제들의 문장들로 구성되었다. 주제의 자유로운 일상적 형식은 그래서 압박감이 없다. 가볍게 읽고도 어렴풋하게 떠올릴 생각들이 미소로 이어지는 연상작용으로 연결되고 읽고 난 후의 전여감 또한 은근하게 지속되는 감도가 좋았다. 게다가 작가의 활동 반경이 결국 글쓰기와 가까이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무엇보다도 오래 지속된 감성의 글쓰기가 이렇게 또 한 권의 책으로 결실을 맺을 수 있게 된 이유가 아니었겠나 추측되었다. 역시나 책을 가까이하고 문장이 습관처럼 일상적으로 베어 있는 사람은 글을 쓰더라도 레퍼토리가 자연스럽게 나오기 마련이다. 일상의 이야기가 남들이 미쳐 간파하지 못한 치밀한 시선으로 사유하는 글이 그래서 더 소중하다. 느끼지 못함으로 흘려버릴 수밖에 없는 잘잘한 것이, 때로 의미로 다가오고 이 의미가 쌓이고 모여서 일생의 수많은 이야기로 뭉쳐지는 재탄생되는 과정이었더랬다. 이런 삶은 자신의 의지에 대한 의미를 찾는 것이라고 믿게 된다.
하기야 우리가 007의 제임스 본드처럼 삶이 늘 극적일 수가 없고 절체 절명의 순간에 공교로운 타이밍 찾기도 여간 어렵다. 그러나 그런 스펙터클한 긴장이 없더라도, 순간순간 불쑥 튀어 오르는 느낌은 극적이진 않더라도, 때로는 감미롭고 때로는 씁쓸한 인생의 시간 맛을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산문집을 접하면서 희대의 극적인 문장을 바라지는 않는다. 물론 있으면야 당연히 극적이라 전율에 휩싸일지 모르지만 그렇다고 모두가 그럴 수는 없다. 작가는 작가 대로 문체의 스타일로 엮어 나가는 씨줄과 날줄의 짜임으로 자기만의 방식을 이야기로 삶의 무늬로 아로 세겨 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었다. 일상에서 흔하게 접하는 것에서부터의 섬세한 감정은 감정 이상의 감성 글로 표현된다. 산다는 것은 그렇게 극적이더라도 극화되지 못한 이야기의 연장선상에서 문장의 행간으로 노니는 일이다. 자신의 천 짜기에 새겨진 스타일쉬에 포커스를 맞추고 그렇게 우리는 사소하지만 달달한 이야기가 한 권의 책으로 만날 때 나오는 향기를 은은하게 맡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의 사진 이야기와 작가의 이야기를 대입시켜보면 상황이야 다를지라도 그 내적으로 담긴 속성은 크게 다를 바가 없다. 일상의 이야기로 느낌과 표현을 글로 쓰거나, 이미지 또는 사진으로 서술되는 것은 표현 방식의 차이일 뿐, 그러니 비슷하다. 내가 직접 만나는 가까운 것의 내밀한 이야기는 결국 자신의 주체적으로 시선이나 느낌으로 표현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면, 글이 산문처럼 쓰질 것이고 사진도 일상의 이미지로 표현되니까 말이다. 그러니 평범한 일상에서 툭 튀어나오는 의지의 의미 찾기가 재미있는 이유다. 시간은 지금 이 순간에도 초침의 운동성이 심장의 박동수와 함께한다. 즉 살아 있음에 대한 오늘의 이야기를 해야 하고 만나야 한다. 그러므로 살았다는 증명을 자신은 스스로가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산문집은 등단한 작가들만의 전유물은 아닐 것이다. 누구라도 담담한 서술과 섬세한 이야기로 자신의 삶을 이야기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백날 말로 떠들어도 소리는 공중으로 분해되어 버리고 시간에 휩쓸려 바리고 만다. 그러나 자신의 이야기가 극적인 문장이 없더라도 글로써 표현됨으로써 자신의 삶에 대한 반추할 수 있다. 사람의 위장은 머리에도 하나 있다. 이것을 저장소라고 한다. 이 저장된 공간에 채워 넣어진 것들이 활자화되었을 때 읽음으로써만 느낄 수 있는 사유가 일반적이었더라면 좋겠으나, 다수가 글쓰기를 두려워한다. 말하기와 쓰기가 머리에서 담당하는 부분이 다르다 하지만 이 거리를 좁히게 되면 우리 삶의 되새김질이 더 자연스러운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작가는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과거를 돌아 보는 일은 생을 한 번 더 사는 것"이라고 했다. 즉, 글쓰기가 한 번 더 살게 했던 것이었다. 특히 작가는 일상에서 부닥치게 되는 "결핍이 재료가 되어 화해를 글로 시도"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한 번 더 살게 됨으로써 이 한 번 더에 대한 화해가 이루어지려는 의도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 우리 일단 "글쓰기는 저질러 보자"라고 했다. 잘 쓰던 못 쓰던 일단은 쓰고 볼 일이라는 점에 대하여 얼마나 많은 공감을 하게 되었는지 모른다. 일상의 이야기를 쓰다 보니 부족하고 부족하니 공부하고 책을 찾고 그럼으로써 사유와 느낌을 넓고 깊이 가져가며 그래서 반추하며 한 번 더 곱씹고 다시 글로 토해내어 결과물을 독자에게 글로 만나게 되었던 것이다.
나는 작가에게 책을 읽고 흔쾌히 리뷰를 써드리기로 했다. 약속을 지키지 위해 단순히 책만 읽고 느낌이나 평을 한다는 것이 뭔가 약간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인터넷에 작가의 활동이 무엇인지 혹은 작가의 삶의 흔적 인터넷 공간 어디에라도 남아 있는지 검색해보기도 했다. 아 역시 글의 색깔이 맑은 이유가 있었구나 싶었다. 작가는 시각 장애자를 위해 책을 읽어주는 봉사 활동을 다년간 해온 이력이 있었고 책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목소리로 책을 읽어 주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역시 산문집의 내용에서도 얼핏얼핏 관련된 이야기의 이유가 손뼉을 치게 만들었다. 또 한 가지는 역시나 나이 대가 비슷한 것으로 인하여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와 딸의 심정, 엄마의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산문집에 녹아들어 공감대가 엮어지는 것에서는 오토매틱으로 고개를 꺼덕이게 만들었다. 그런가 보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동시대 사람들이 제일 잘 알고 잘 느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나이대도 비슷하다면 더더욱 이해의 폭은 넓어지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래서, 그래서 글의 이야기가 하나같이 엇박자를 내지 않고 속속들이 아귀가 맞아 갔던 연유를 리뷰를 쓰며 찾아보니 알게 되었다.
또 이렇게 책을 통해서 서재의 책을 통해서 작가 한 분을 알아 간다는 것. 참 근사한 일임에는 틀림없다.
책 제목에서 나오는 앵두가 뭔지 이제야 나도 조금 알게 되었다. 앵두가 뭔지는 독자가 책으로 찾아 보시길 권한다!~
-----------
감사합니다. 책 내신 노고에 비해 리뷰가 좀 짧아서 많이 적어 내지를 못 했습니다. 혹시나 너무 깨알같이 속속들이 다 밝혀 버리면 자칫 스포일러가 될까 걱정도 되고 해서 줄인다고 줄인 게 이거였습니다.
넓게 혜량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따옴표 글은 작가의 서문 글을 인용하였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