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치락 뒤치락 세계 경제 이야기 비행청소년 13
석혜원 지음, 어진선 그림 / 풀빛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6~18세기 유럽에서 자본주의가 시작된 시기부터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1차 산업혁명이후 세계경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을 하고 있다. 책의 전반적인 구성은 경제의 역사속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추려내어 그 이야기를 중심으로 세계 경제의 흐름에 대해 쉽게 설명을 해준다.16세기 부터 20세기까지 세계경제를 움직였던 사건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는데 사건들이 일어나게된 배경이나 당시 각 나라들의 경제 상황과 정책을 펼치게 된 동기 등에 대해 소상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점차 유럽대륙으로 확산되어 나갔다. 산업혁명이 제일 먼저 일어난 영국은 기계와 숙련노동자, 제조기술 등의 국외유출을 금했으나 영국의 독점은 영원히 지속될 수 없었다. 특히 유럽대륙의 사업가들이 영국의 새로운 기술을 자국으로 유입시키고자 시도하는 가운데, 일부 영국인들이 해외생산이 더 큰 이윤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알고 19세기 초에 공장을 세운 것을 기화로 벨기에서 산업혁명이 시작되었다.

 

유럽에서 자본주의가 태동된 이후 지금까지 세계경제는 지속적으로 발전을 해왔다. 그간 경제 대공황, 1,2차 세계대전, 중동에서 시작된 석유파동 등으로 인한 변화무쌍했던 과정들도 있었지만 IT기술발전이라는 혁신적 변화와 함께 눈부신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요즘 인터넷 검색을 하다보면 핫키워드로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가 주요 의제로 채택되어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인공지능(AI),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이라고 정의했다.
산업혁명이라고 하면 흔히 18세기 이후 영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산업상의 큰 변혁인데, 큰 흐름을 나열하면 1784년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기관 발명(1차 산업), 1870년 전기를 이용한 대량 생산과 자동화(2차 산업), 1969년 인터넷이 이끈 컴퓨터 정보기술(IT)과 산업의 결합(3차 산업)을 말한다. 네번째 산업혁명을 일으킬 것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4차 산업혁명'은 간단하게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 그리고 빅데이터가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처럼 인류의 역사에서 여러 차례의 산업혁명이 있었는데 이는 경제의 발전 과정과도 밀접한 영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세계경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날과 같은 양상을 띠게 되었는지를 살펴보눈것은 무척 의미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과정에서 과거의 흐름을 살펴보는것도 앞으로의 변화방향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