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와당의 표정
정민 엮고 지음 / 열림원 / 2017년 1월
평점 :
기와는 침수나 목재 부식을 막기 위해 가옥의 지붕을 덮는 건축재이다. 형태에 따라 암키와와 수키와로 구분이 되는데 우리가 흔히 보는 기와 중 볼록하게 덮은 기와는 수키와, 오목한 모양의 기와로 넓적하게 아래쪽을 받치고 있는기와를 암키와라고 한다. 수키와 끝에는 수막새, 암키와 끝에는 암막새가 있다. 와당은 우리말로는 수막새로.수키와의 끝을 막음하는 장식이다. 일반적으로 15cm에서 21cm정도 크기의 와당(瓦當)은 아름다운 문양과 글귀가 새겨진 기와의 마구리로 장구한 역사와 철학, 미의식을 담고 있다. 와당의 발전 과정을 보면 처음에는 그저 막음새였으나 문양과 글자를 새겨 넣으면서 예술로 승화했다.
저자는 여러 유형의 와당에서 와당이 가진 고유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역사와 철학을 엿볼 수 있다고 전한다. 이 책은 중국 고대의 와당들을 모양과 문양에 따라모은 것이다. 중국 고대 전국시대가 열렸던 기원전 4백 년부터 당나라에 이르는 1천년 간의 중국 와당들을 간추려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와당의 문양으로 구분해 모두 4부로 나누어 와당을 살피고 있다.와당의 문양에는 그 시대를 살고 간 사람들의 꿈과 현실이 담겨있다고 말한다.옛 사람들은 잘 보이지도 않는 한옥 지붕에도 멋스러움과 아름다움을 꾸밀 줄 아는 세심한 미적 감각을 지녔다. 지붕에 기와를 그냥 얹은 것이 아니라 그림과 기호, 무늬를 넣은 기와로 꾸몄다.
같은 종류의 와당도 그 미묘한 변화의 과정을 지켜보니 아주 흥미롭게 느껴졌다. 와당은 그 시대와 지역의 예술적특징을 뚜렸하게 보여 준다고 한다. 아름다움과 예술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열정, 그 시대의 미적 감각과 문화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한국인 누구에게나 눈에 익고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 경주에서 발견된 '신라의 미소' 얼굴무늬 수막새가 유명하다. 와당에 세겨진 자연스런 미소 때문에 와당의 대표격으로 우리에게도 친근한 유물이 되었다. 한중일을 오거며 발전한 와당문화는 동아시아의 중요 문화이자 동시에 우리의 문화이기도 하다.
와당의 문양과 시대, 출토지를 비롯해 단 몇줄만 적혀 있는 <와당의 표정>은 그림책을 넘기듯 가볍게 시집을 넘기듯 감성으로 와당을 접할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