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의 사회 : 사자, 개미, 마모셋원숭이 과학과 사회 6
기 테롤라즈 외 지음, 이수지 옮김 / 알마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모두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장 자연선택과 동물 사회: 협동하기, 의사소통하기, 싸우기…함께 살기는 행동생태학의 방법론을 택해 분석하면서 군집 생활의 이유에 대해서 두번째는 '사회 조직과 유성생식: 다양한 짝짓기 체계는 환경이 부과한 제약에 대한 적응'부분으로  여러 종의 짝짓기 체계에 숨어 있는  경제적 논리부분에 대해 그리고 마지막 '곤충 사회의 집단 지능: 자기조직화 과정을 통한 곤충들의 집단 지능 계발'에서는  개체가 전체를 위하여도움이 되는 활동에 집중하게 되는 놀라운 선택 들에 대한 사례를 만나볼 수 있다. 모든 개체가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남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다른 개체가 희생되는 것을 그저 방관하는 것이 더 이익이 되지 않는가? 물론 동종의 개체가 다 죽어버리면 번식을 할 수가 없으므로 손해겠지만, 자신의 목숨이 위험한 상황에서까지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특히  개미나 벌들의 조직화한 행동들은 어떤 목적성 아래 움직이는 개체들의 반응이 자연스레 모이고 쌓여서 나타나는 결과물 이라는 사실도 이야기 하고 있다.인간들은 서로 상호작용을하며 서로 어우러져 살아간다. 동물의 세계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동물들의 사회에도 위계질서가 있음을 알 수 있다.또한 사자가 먹잇감을 사냥할때를 유심히 살펴 보면 동물들의 사회에서도 고도의 협동 전략들과 속임수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을 통해 역으로 우리 인간사회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유형이 많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
인간 사회는 이들과 달리 자유 의지와 문화, 도덕성 등 훨씬 더 다양한 변수가 있지만 동물 사회도 인간 못지않게 복잡함을 느꼈다.   인간 사회처럼 무리 안에는 슬쩍 뒤로 빠지는 뺀질이나 사기꾼같은 동물들을 보면 생존을 위한 이들의 생존전략이 인간 사회만큼 복잡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곳에서 인간 사회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어 흥미롭다.우리는 "협동"을 인간만이 가진 고도의 기술이며, 동물은 단지 양육강식의 자연 법칙에 맞춰 살아간다고 생각하기 쉽다. 보통 우리는 자신의 먹이와 서식지를 위해 다른 개체와 싸우고 서로 죽이기까지 하는 냉정한 적자생존의 원리를 ‘야생’ 이라 생각한다. 인간처럼 법과 규율이 없는 환경에서 동물은 생존을 위해 자신의 이익만을 최우선으로 추구할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남을 도우며 살아가는 이타적인 행동을 살신성인의 정신이라 칭하며 이것이 마치 인간만의 고귀한 특성인 것처럼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동물들도 자신의 생존의 기회를 희생하면서까지 다른 개체의 생존을 돕는다고 한다. 이는 ‘동물의 이타적 행동’ (altruism in animals)이라고 불리는데, 나는 이 생명의 이기적인 속성에 반하는 개념을 접하자 조금 의아해졌다. 군집생활은 여러 가지 형태지만 각 형태는 저마다 고유한 선택임을 알게 해준 책으로내용은 상당히 함축적이며 간결 했지만  지금까지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던 동물의 세게를 더욱 깊숙하게 들어갔다 나온 느낌이 드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