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추악한 배신자들 - 조선을 혼란으로 몰아넣은 13인
임채영 지음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조선을 우리민족의 역사중 가장 통치제도나 사회제도의 완성을 이루었던 나라라는 시각과 조선을 한반도로 우리민족의 활동무대를 좁히고 면과 청에 대한 사대주의로 자주성이 회손한 국가로 보는 시각이 동시에 존재한다.  그러나 조선은 엄연히 봉건제도에서 초기 자본주의시초로서 국가로서의 체계를 갖출수 있었던 시기였다는점에서는 평가 받을만한 왕조였다.

 

 조선는 왕조국가이다. 모든 권력의 용상에서 나오고 백성은 의무만 존재하는 전형적인 군주국가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사대부많이 그 절대권력에 다가갈 수 있는 여력이 있을뿐이었고 그런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치적인 암투 내지는 권력투쟁은 조선의 역사뿐만 아니라 동서고금을 부면 정말 숱하게 많은게 사실인 것이다.  책은 모두 3부분으로 나누어  첫번째 장에서는 조선초 완성된 통치제도를 개인의 사리사용을 통해 혼란으로 몰고간 인물들인 한명회, 유자광, 임사홍, 이이첨, 김자점을  두번째 장에서는 조선을 급속도로 솨약하게 만든 외척정치의 발단을 제공한 왕실의 여인들인  문정왕후, 정순왕후, 순원왕후를 마지막 장에서는 조선을 일본제국주의에 팔아 넘긴 '을사늑약 5적'인 학부대신 이완용,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군부대신 이근택,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조선을 역사에서 퇴장시킨 5인방으로 이들은 조선을 안위를 위한다는 명목을 내걸었지만 그 이면을 보면 일본 제국주의 세력에 의한 매수와 일신의 안녕과 영달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나라를 팔아넘기는 데 일조한 이들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을사오적 등 13명을 '배신자'로 규정하고 역시 이들의 삶의 궤적을 다루고 있다. 이 13명을 3부류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첫번째 부류가 조선 초 완성된 통치제도를 개인의 사리사욕으로 혼란스럽게 한 인물들인 두번째 부류로는 조선을 급속도로 쇠약하게 만든 외척정치의 발단을 제공한 왕실 여인들로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사실, 이완용은 친일파의 대명사처럼 회자된다. 이완용을 비롯한 이른바 '을사5적'이 일제의 조선강점에 적극 협력하였으므로 이들은 용서받지 못할 반역자라는 것이다.  이들은 이유를 불문하고 우리민족에게 ‘배신자’로 낙인 찍혀 있고 아직도 그 잔재를 남긴 채 살아가게 만든 사람들이다. 100년 전의 조선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틈에서 나라를 지키고 발전시킬 능력도, 비전도, 그리고 아마 의지도 존재하지 않았다.  '을사5적'의 배신 행위가 있을 당시 조선은 사실상 이미 망한 상태였고, 이완용을 비롯한 5적의 행위는 조선이라는 나라가 일본에 정복되었음을 확인하는 요식행위에 불과했을 뿐이란 생각이 든다.   
 

 국가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끌어가야 하는가에 대하여  그리고 조선이라는 나라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하여 지배층이라면 당연히 가져야할 책임의식이나 사명감이 없던 그들, 백성들의 안위 같은 것은 안중에도 없이 고상한 관념론과 명분론을 앞세워 권력다툼에만 여념이 없던 그들, 그들은 한마디로 자격미달이었다. 그런 자들이 국가를 망치는 것은 시간문제였을 뿐이다. 조선이 더 한층 완숙하고 세련된, 나아가서 강소국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고 보는 저자는 조선이 어느 순간부터 내부적으로 무너지는 현상이 일어났다고 얘기한다. 그리고 그 원인을 제도의 미성숙보다는 사람에 의해 제도가 문란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역사는 승자의 것이다. 승자에 의해서 기록되어 진다. 역사의 평가를 받는다는 것은 승자(勝者)의 변명, 또는 그 행위에 대한 논리적 설명이 부족하거나 도덕적인 그 무엇이 부재(不在)할 때 쓰는 표현이 많다.  우리역사에서도 조선의 역사적 자리매김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여러갈래의 시각으로 해석을 할 수 있을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역사의 관점에 따라 읽는 이 마다 해석이 다를 수 있을 것이다. 나 또한 저자의 의견에 모두 동조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역사를 통해 똑같은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시대를 이끌어가는 위정자들이 한번쯤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