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계
장아이링 지음, 김은신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장아이링은 루신(魯迅)과 함께 중국 현대문학의 최고봉으로 평가받고 있는 중국의 대표작가로, 소설 「색, 계」는 영화화되기 전부터 작품성을 널리 인정받아 왔던 작품이다. 장아이링은  1920년 상하이에서 태어난 그녀는 런던대 입학시험에 합격하였으나 2차대전의 발발로 꿈을 이루지 못하고 홍콩대에 입학한다. 하지만 1941년 일본군이 홍콩을 점령하자 학업을 중단하고 이듬해 상하이로 돌아오게된다. 상하이로 돌아온 장아이링은 왕징웨이 친일 괴뢰정부의 고위관료와 결혼을 하는데 색계에는 이런 개인적 체험이 배경에 깔려있다.  그녀는 또한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하여「첫번째 향로(第一香爐)」「경성지련(傾城之戀)」「붉은 장미와 흰 장미(红玫瑰与白玫瑰)」 등 수많은 주옥같은 작품들을 발표해 20대 초반에 일찌감치 유명인사로 떠오른다. 당시의 상하이는 근대적인 서양문물과 전근대적인 봉건 이데올로기의 소용돌이 속에서 작가인 그녀에게 풍부한 작품의 소재를 제공했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1930년대말 40년대초 상해와 홍콩은 중국근대사에서 긴장과 대립의 혼전지역으로 항일전쟁시기 동안 중국 국민당과 일본이 뒤에서 지원하던 왕징웨이정권의 대립시기이며, 젊은이들에게는 중국의 봉건시기에서 새로운 시기로 들어가는 시기에 사회에 대한 의식을 요구 받던 시기이다. 이 시기의 상해는 암살과 살인이 난무하는 단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는 곳이었다. 소설의 주인공인 이()선생은 홍콩과 상해라는 동서문명이 혼재하던 역사적 지역에서 경계를 늦출 수 없는 긴장된 생활을 하며 이러한 긴장된 생활 속에서 인간에게 깊이 내재되어 있는 본능을 격한 성적 표현으로 표출한다. 이러한 격정의 표출을 통해 중국근대사에 서로간 대립되던 상황에서의 정신적 압박을 인간이 갖고 있는 본능적 욕구의 표출을 통해 시대상황과 개인의 욕망이 표현되고 있다.

 19세기 후반 이래 서구 열강의 조차지로써 여러나라의 문화가 섞여있는 당시 상하이는 코스모폴리탄도시로써 이런 도시 상하이의 퇴폐적인 분위기는 그녀의 소설의 소재가 되었는데 『색, 계』역시 상하이라는 특수한 지역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소설가이자 산문가, 영화작가로 활동하며 소설보다 더 극적인 삶을 살아온 그녀의 생애에는 중국 근현대사의 아픔이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다.


 

짧은 서문의 성격으로 쓰여진 「망연기」를 시작으로, 리안 감독의 영화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색, 계」,『색, 계』는 장아이링의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색, 계」와 더불어 작가가 거의 30년에 걸쳐 고치고 다듬기를 반복한 끝에 완성한 「머나먼 여정」과 「해후의 기쁨」, 함께 실린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사랑과 연애에 초점을 맞춘 「재회」「연애는 전쟁처럼」「못잊어」등 총 7편의 단편소설을 수록하고 있다. '색계'의 영어제목은 'lust,caution'이다. 직역하면 '욕망,경계' 각자의 입장에서 욕망을 경계하지 못한 두남녀의 파국적인 사랑 이야기이자 과연 욕망이 경계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 이야기가 '색,계' 이다. 영화의 원작이 되었을 정도이니 최소한 중편정도의 소설일거라 기대했었는데 실제로는 단지 50여쪽 분량의 짧은 단편이었다. 색계(色戒)속의 색()은 인간 심연의 본성으로 시대적 대치상황과는 별개인 인간의 공통분모로 보인다. 어떻게 보면 중국인들이 현실적 입장의 차이로 서로 대립되는 상황에서도 중국인들의 서로 같이 할 수 있는 중화사상과 문화라는 공통점으로도 볼 수 있다. 그래서 리안 감독은 영화에 외적으로 서로 대립된 사람들이 내적으로 갖는 공통점으로 선정적 장면을 넣어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해후의 기쁨’, ‘머나먼 여정’는 작가가 애정을 가지고 있는 작품이라고 한다. 하지만 나에겐 쉽게 읽히지 않는 소설들이다. 이 소설들에 등장하는 여인들의 삶과 생각이 쉽게 이해되지 않는 것도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역사와 관습과 남성 사이에서 비극적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던 중국 여인들에 대한 그녀의 이야기는 개인의 문제에 눈을 돌리기 시작한 중국인들에게 새로운 자극과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으며, 장아이링과 그녀의 작품들은 사후 중국에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중의 하나일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