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 액션 - 선택과 행동의 경제적 오류 분석
크리스토퍼 시 지음, 양성희 옮김 / 북돋움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적 선택은 결국 보다 많은 효용을 주는 것을 가려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책은 행동경제학의 전문가인 저자가‘정상적이지만 비합리적인’보통 사람들이 어떤 결정을 내릴 때 흔히 범하는 오류들을 행동경제학과 선택행동학 측면에서 분석했다. 인간심리의 메커니즘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는 다소 생소한 분야의 학문이다. 인지심리학이라던지 행동심리학이라는 용어는 들어보았지만 경제학 분야에서 이러한 부문에 대한 연구는 아직 생소한 느낌이었다. 인간의 행동심리와 경제활동에 대한것을 주 연구대상으로 비합리적 선택의 패턴과 그 이유를 분석하는 것이 이 학문의 과제일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 책은 모두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각 장마다 일상생활에서 대다수 정상인들이 보이는 보편적인 오류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조금더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끔 조언을 해주고 있다. 오늘날 행동경제학과 행동금융학은 학계나 여러부문에 걸쳐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벌이는 갖가지 선택의 오류들을 설명한다음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는지 각 장 말미에 정리를 하고 있다. 저자는 심리의 회계장부가 경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상인’은 일반적으로 심리적회계에 의한 오류를 일으킨다고 하고 있다. 그 돈이 어떻게 얻어졌는지 어떻게 쓰이는지에 따라 다른 태도를 취한다고 설명하고 있다.정말 공감이 가는 내용이었다. 일상적인 투자상황에서 흔한 경우를 들어보면 1백만원의 돈으로 어떤 주식을 샀다가 큰 손실이 났다고 가정했을때. 더 큰 손실을 보기 전에 이 주식을 팔아야 할지, 아니면 원금으로 다시 돌아올 때까지 보유해야 지에 대하여 결정해야하는 투자자에게 항상 선택의 결정을 하게 만드는 상황에서의 대처이다. 정답은 지금까지의 손실액은 모두 잊어버리고 현재의 시세와 장래의 전망을 검토했을 때 더 오를 것인가, 더 떨어질 것인가만 판단의 근거로 삼는 것입니다. 만약 더 오를 것같다면 그냥 보유를 해야 할 것이고, 더 떨어질 것같다면 지금까지 입은 손해가 얼마이든지 손절매를 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인 투자자들 중에는‘본의 아닌 장기 투자자’가 적지 않다. 주가가 매입 가격보다 오랫동안 낮게 지속된 경우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본전 생각’에 매도를 하지 않고 장기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손절매하는 것이 낫다는 교과서적 원칙을 모르지 않지만 ‘곧 오를 거야’라는 근거 없는 희망을 붙들고 있기 일쑤다. 이런 식의 비합리적인 결정이 경제적 선택 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마음’이라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비슷한 주제의 서적중 마테오 모테를리니의 ‘economia emotiva'라는 책에서 저자는 사람들의 마음은 감성적일 수도 있지만 그 어리석음 속에는 체계가 있다고 한다. 사람들이 저지르는 실수들은 다방면에 걸쳐 있지만, 반복적이며 예측 가능하다고 한다. 뇌에 대한 일련의 연구인 뇌과학과 심리학, 신경학 등에 크게 기대고 있는 이 학문의 현실적 실용성에 대한 의문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비합리적 결정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기 때문에 이 규칙을 안다면 실수를 줄일 여지가 충분하다는 점에서 이 학문은 현실 세계에서 요긴하게 써먹을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을 읽고난 후의 느낌은 돈에 관해서만은 직관을 버리고 차분하게 분석하여 지출과 소비 습관을 교정하는 것에서 시작해 투자 결정, 정치적 선택까지 광범위한 영역의 ‘선택적 상황’에서 최선을 추구하는 데 힘써야 할 것 같다. 선택과 행동에 대한 의사결정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으로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