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숲에 남산제비꽃이 피었어요 아이세움 자연학교 2
김순한 지음, 백은희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남산 하면 숲보다는 하늘 높이 쏟아있는 타워가 생각난다. 그래서 남산숲이라는 명칭은 다소 생소하게 느껴졌다. 서울 도심 한가운데에 청계천이 흐르는 것처럼 도심 중앙에 숲이 있다면 얼마나 운치있고 싱그럽게 느껴질까? 그래서 남산숲 이야기에 관심이 끌렸다.

  애국가에 ‘남산 위에 저 소나무~’라는 구절이 있다. 하고 많은 나무 중에서 왜 하필이면 남산 위에 소나무일까 한번쯤은 궁금해 했던 적이 있었던데, 그에 대한 답변을 들었을 수 있었다. 남산의 소나무 숲은 조선 시대부터 조성돼 왔다고 한다. 그런데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그 소만들이 마구 베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현재 남산에 있는 소나무 중 백살이 넘은 것은 6그루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 책은 이렇게 남산의 소나무 숲에 대한 얘기며, 소나무의 종류 및 그 특징을 소개해 놓았으며 소나무 숲에 많이 사는 박새와 쇠박새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이밖에도 숲의 천이 과정에 대해서도 알려주며 남산에서 철마다 볼 수 있는 풀들에 대한 안내, 봄에 되면 아까시 숲이 된다는 이야기도 들려주고 현재 남산숲에서도 볼 수 있는 새들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또 남산숲에 널리 퍼져 있는 서양등골나물을 소개하면서, 개망초, 가죽나무, 애기수영, 미국자리공, 닭의덩굴, 털별꽃아재비 같은 귀화식물에 대해서도 설명해 놓았다.

  그리고 참나무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전에는 참나무라는 것이 어느 한 나무의 이름인 줄 알았다. 그런데 알고보니 신갈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이렇게 6종의 도토리가 열리는 나무를 통틀어서 참나무라고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많은 나무와 새, 식물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도심 한가운데서도 많은 식물과 동물들이 어울려 보금자리를 꾸미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니 신기하기도 하고 그동안 그들의 삶에 대해 너무 몰라주었다는 게 몹시 미안하기도 했다. 그리고 매연과 소음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살아주고 있는 그들이 고맙기도 했다. 자연에 대해 알려면 왠지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시골에나 가야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는데, 이렇게 우리 주변에서 숲을 볼 수 있다니 놀라웠고 그래서 앞으로 이 책을 더욱 더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