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마을 미래그림책 50
앤 그리팔코니 지음, 카디르 넬슨 그림, 이선오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한창 서구 열강들이 아프리카 원주민들을 노예를 잡아오던 시절의 슬픈 이야기다. 이 무자비한 노예상들을 피해 마을을 버리고 깊은 숲 속으로 숨어들어가야만 했던 야오 부족의 이야기다. 이 얘기는 그 때 살아남아서 종족을 보존할 수 있었던 야오 부족의 후손이 아이들에게 조상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야기도 잔잔하고 그림도 크면서 인상적이면서 많은 사람들이 꼭 읽어봤으면 하는 책이다.

  노예로 끌려가야만 했던 아프리카 원주민들의 아픈 역사도 알 수 있고, 자신의 이득을 위해서는 남의 인권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았던 근세 서구민들의 잔인함에 대해서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인권이 얼마나 중요한지 자각하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인권이 무시되고 있는 상황이 우리 생활 속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나의 인권만이 아니라 남의 인권도 소중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 책의 줄거리는 주변 부족들이 노예상들에게 끌려가는 것을 보고 야오 부족의 아비카닐의 어머니 니제밀이 부족에게 마을을 버리고 숲 속으로 도망갈 것을 제안한다. 모두가 찬성을 하는데 니제밀의 어머니 침왈라만이 마을에 혼자 남겠다고 주장한다. 어차피 자신은 그들에게 마을에서 혼자 사는 늙은 마녀처럼 보일거라면서. 그래서 야오 부족은 니제밀의 말에 따라 마을을 떠나기로 한다. 마을에 사람이 살았던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집들을 부숴서 세간은 땅이 묻고 나무들을 모두 숲 속에 감추고 집에 있던 자리는 밭고랑을 만들어둔다. 그런데 이들이 가려던 숲속에 도착하기 전에 강에 도착하게 된다. 배도 없는 상황에서 이들은 어떻게 강을 건널까? 아비카닐은 조상님들에게 열심히 기도한다. 용기를 달라고.

  조상께 한 기도가 통한 것일까? 강에 징검다리처럼 무언가가 놓인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끝내 설명이 없다. 그림을 자세히 보면 악어등 같기도 하지만. 어쨌든 이들은 무사히 숲속으로 피신한다. 한편 침왈라만 남은 마을에 노예상들이 쳐들어와 침왈라에게 이것저것 묻는다. 과연 침왈라는 어떻게 그 위기를 모면했을까? 노예상들은 넓은 밭고랑만 보면 노인네 혼자 살지는 않은 것 같다면 생떼를 쓰는데...... 그 부분을 책을 읽어보시라.

  아비카닐의 기도에 의해 징검다리가 생기는 부분을 보면서, 주몽이 금와왕의 아들들을 피해 달아날 때도 자라와 물고기가 다리가 되어 주었으며, 모세가 애굽에서 탈출할 때도 바닷길이 열렸다는데, 이 모든 것들이 믿음에서 가능했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비카닐은 조상들이 자신들을 도울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 모세도 그랬을 테고 주몽도 하늘의 뜻을 믿지 않았을까?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했는데, 바로 이런 것들이 그 좋은 예인 것 같다.

  어쨌든 야오부족이 살아남아서 아주 기뻤다. 앞으로는 이런 인간의 추악한 면을 보이는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래서 더욱 더 아프리카 사람들이 이제는 행복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