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속에서 놀아 보자 - 선사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조정육 지음 / 대교출판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선사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유물 중에서 그림이 있는 유물들을 살펴보면서, 그 시대의 그림의 경향과 그림 속 내용이 뜻하는 바를 알려주는 재밌고도 유익한 책이다. 각 시대별로 현재 전해지는 그림들을 크게 소개하면서 아울러 옆쪽에 그 그림을 설명해 주는 동시를 수록해 놓고 있어서, 그림도 자세히 보고 그 내용도 쉽게 알 수 있어서 무척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옛날 그림들의 경우 오래 되어서 빛도 바래고 선도 끊긴 것이 많아서 제대로 감상할 수도 없고 그 의미도 이해하기 힘든데, 그림들을 한 페이지 분량으로 크게 실으면서 그 밑에는 주를 달아 그림 내용을 자세히 설명해 놓았고, 옆 페이지에서는 그 그림을 더욱 신나게 감상할 수 있는 동시를 붙여 놓아서 책 제목처럼 그림 속에서 노니는 것 같다.

  얼마 전에 아이들을 데리고 서울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에 다녀왔었는데, 거기에는 고구려 시대 고분에 그려져 있는 그림의 내용을 영상물로 제작해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있었다. 그 때는 무덤 속 그림이 뜻한 바를 제대로 알지 못했기에 그 설명이 귀에 쏙 들어오지 않았는데, 진즉에 이 책을 읽고 갔더라면 큰 도움이 됐을 뻔했다.
   울산 대곡리에 있는 반구대 암각화에 대한 소개, 안학3호분, 무용총, 각저총, 강서대묘 등 고구려 고분 속에 있던 무덤화들, 백제의 무덤 벽돌에 새겨진 무늬, 성덕대왕 신종의 비천상, 천마총의 천마도, <수월관음><지장보살><아미타여래> 같은 불교화 등을 통해 각 시대의 화풍을 보여준다.


  그 뒤에는 ‘함께 읽어요’라고 해서 각 시대별 그림과 유물 속 그림 표현들을 통해 미술의 특징을 상세히 소개해 놓았다. 빗살무늬토기와 청동방울을 중심으로 선사시대의 미술을 설명해 놓았다. 고구려인이 용맹했으며 씨름과 사냥을 잘 했음을 보여주는 무덤화를 통해서는 그림 자체에 대한 설명뿐 아니라 당시 무덤의 구조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안타깝게도 백제의 미술품은 그림 형태로 남은 것은 없지만, 무덤에 사용된 벽돌의 문양, 불상이나 석탑에 새겨진 무늬 등을 통해 백제의 미술 수준을 보여준다. 신라의 미술로는 천마총에서 발견된 천마도와 금관, 금귀고리 같은 각종 금 세공품, 그리고 그 유명한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을 통해 정교하고 뛰어난 감각을 보여준다고 하며, 통일신라시대에는 석굴암, 다보탑과 석가탑 등 불교 유물들을 통해 보다 화려하고 정교한 솜씨를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고려 시대에는 특히 불교화가 발전했지만 그에 못지않게 순수하게 감상을 위한 그림도 있었다고 한다, 전문적인 화공뿐 아니라 귀족이나 승려들도 널리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또한 고려시대에는 초상화를 많이 그렸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우리나라에 주자학을 처음 전한 안향의 초상화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31대 왕인 공민왕은 자화상은 물론 신하들의 초상화까지 그려줄 정도로 그림을 잘 그렸으며, 그의 작품인 사냥도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모든 것이 알면 더 잘 보이겠지만, 그림의 경우는 더욱 그런 것 같다. 미리 공부를 하고 가면 그만큼 더 자세히 보이게 이해가 쉬운 것 같다. 요즘 아이들이 체험학습도 많이 다니고 미술관 나이들도 자주 하는데, 이 책을 미리 읽히고 가면 유물에 보다 관심을 보일 것이고 더 자세히 보고 올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