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5%로 가는 역사탐구교실 9 - 해양사, 사회 탐구 총서
김용만 지음, 사회탐구총서 편찬위원회 엮음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있는 반도국가인 우리나라에게 바다는 중요한 삶의 터전이자 자원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자원의 보고에 대한 시각보다는 삶의 터전에 대한 의미가 더 강했겠지만 말이다. 어쨌든 삼면이 바다인 우리의 역사에서 바다를 통한 교류 활동 및 전쟁은 참으로 많았다. 따로 해양사를 정리할 수 있을 만큼 우리 역사에서 바다가 차지하는 비중은 컸으며 앞으로도 그 비중은 더욱 클 것이다.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고 있고 서양에서는 독도를 발견한 선박의 명칭을 따서 리앙쿠르 바위라고 부르고 있으며, 최근 미국의 한 지리연구원이 독도를 영토미지정 섬으로 분류하는 등, 우리 땅임이 분명한 독도를 두고 분쟁이 분분한 것만 봐도 바다의 보고로서의 의미가 얼마나 강해졌는지를 깨달을 수 있다.

 이런 독도에 대한 역사를 비롯해서 신라의 장보고의 활동, 임진왜란 당시의 이순신 장군의 활약 등 너무나 유명한 바다에서의 활동을 비롯해, 바다와 연관된 보다 상세하고 계통적인 역사를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우선, 앞서 말했듯이 바다가 자원으로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우리나라의 지리적 위치와 그에 따른 역사적 영향력에 대해 개괄적으로 알려준다. 또한 선사 시대 이전부터 이 땅에 사람들이 바닷가에 모여 살았음을 보여주는 반구대 암각화와 조개무지에 대해서도 설명해 준다. 그리고 고조선 때부터 바다를 통한 대외 교역 및 지리적 이점을 이용한 중계 무역이 행해졌음을 알려준다. 이처럼 바다는 우리 역사에 있어서 그 시작을 함께 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어떻게 그 오래 전의 시간부터 바다를 잘 활용해 왔었는지 놀라울 뿐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바다의 왕국’이라 할 만큼 백제가 바다를 통한 대외교역에 능통했다는 것이다. 가까이에 있는 일본 및 중국과의 교류는 물론이고 멀리 동남아시아와도 교역을 했다니 놀라운 따름이었다. 신라의 장보고가 너무나 잘 알려서 있어서 바다하면 장보고가 먼저 떠올랐는데 그보다 앞서 백제의 13대 근초고왕이 제1대 해상왕으로 손꼽히는 인물이라고 한다. 이밖에 철을 많이 생산해 수출까지 한 가야의 해상 활동과 고구려, 신라, 발해의 해상 활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또한 무역을 통해 이름을 드높여 우리나라의 영문 이름이 코리아가 되게 한 고려의 무역 활동과 삼별초의 난, 원나라의 일본 원정에 대한 이야기까지 전해준다. 바다를 통한 전쟁과 문물의 교류가 빈번했던 조선에서부터 근대화기까지의 각종 해상 활동과 미래의 생존의 터전일 될 바다에 대한 전망까지 바다와 우리 역사에 대한 아주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러면서 선사 시대부터 존재한 배, 고대 서양의 바다, 세계의 바다를 정복한 정화의 함대, 콜럼버스 대항해 시대를 열다, 아시아를 찾아 나섰던 항해가들, 극지를 탐험한 사람들처럼 해양과 관련된 사라들과 지식을 전해주는 다양한 내용들이 들어 있어 보다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앞서 살펴봤듯이 우리나라는 반도국가라는 지리적 위치 때문에 아주 오랜 세월 전부터 바다를 지혜롭게 활용하는 법을 터득하며 살아왔다. 이런 지혜 덕분에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손꼽히는 조선 기술을 가진 국가가 됐다. 반도 국가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외침을 당하는 불행한 경우도 많았지만 어쨌든 우리 조상들은 그 바닷길을 잘 활용해 다른 나라와 교역하고 문화를 발전시키는 슬기를 보여주었다. 우리도 조상의 슬기를 본받아 무한한 자원의 보고인 바다를 잘 활용해 세계로 뻗어나가는 보다 발전적인 국가가 되어야겠다.

  보통 역사하면 땅덩어리를 두고 그 영토의 범위가 어디까지였나를 먼저 생각하게 되고 누가 그 땅의 지배자였나를 생각하게 되는데, 우리에게는 그 땅의 역사와 함께 잊지 말아야 할 바다의 역사가 있음을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되었다. 역사를 보다 포괄적으로 보는 눈을 가져야겠고 역사를 분석해 볼 수 있는 눈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정리된 주제사를 보니까 다른 것에 대해서도 주제사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