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달 세시 풍속 - 오천년 역사를 이어온
원영주 지음, 임양.김명곤 그림 / 계림닷컴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설날, 추석과 같은 민속 최대의 명절뿐 아니라 단오, 칠석, 동지 등 예전에 우리나라에서 달마다 지켜졌고 행해졌던 명절에 대해 소개해 놓았다. 또한 해당 달마다 두 번씩 맞이하게 되는 24절기에 대해서도 설명해 놓았다. 1월부터 12월까지 달 별로 맞이하게 되는 명절들을 순차적으로 소개해 놓았기 때문에 한 해의 명절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각 명절의 유래, 그날만 먹는 특별한 음식, 그날만 입는 특별한 복장, 또한 그날에 행해지는 특별한 놀이나 지켜야 할 일 등 명절과 관련된 많은 것들을 알려준다. 음식도 귀했고 다른 물자도 풍족하지 않았던 옛날에는 명절이 맛있는 음식도 먹고 예쁜 옷도 입고 특별한 놀이도 할 수 있는 아주 특별한 날이었다. 오늘날에는 그 의미가 축소돼 설날 하면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가족이나 친척들이 모여 떡국 한 그릇 먹고 세배하는 날 정도가 되어 버렸지만, 예전에는 설날은 ‘새로 시작하는 낯선 해를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준비하는 날’이라는 의미여서 가족 모두 설빔이라는 새 옷을 입고 조상님께 새해 인사를 하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이었다.

  이처럼 명절의 의미가 많이 변색되어 왔을 뿐 아니라 백중, 삼짇날, 중양절 등 우리에게는 너무나 생소하고 지켜지지 않는 명절도 있다. 물론 명절의 다수가 농사일에 맞춰 만들어진 농경 문화의 산물이기 때문에, 요즘 같이 산업화된 사회에서는 맞지 않는 것도 있다. 그렇다보니 자연스레 지켜지지 않게 되고 잊혀지고 있는 것도 있다. 이를테면 머슴의 날이라고 하는 백중은 밭매기와 논매기 등 바쁜 농사일이 끝나고 가을 추수를 기다리게 되는 다소 한가한 시기에 그동안 고생했던 머슴들을 쉬게 하는 날이었다고 한다.

 이처럼 요즘 사회에는 맞지 않는 명절들도 있지만, 그것 또한 우리의 소중한 역사이기에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이다. 이밖에도 초파일, 유두, 삼복, 칠석, 중양절, 동지 풍습 등 아이들에게는 생소한 명절이 사진과 함께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우리나라 전통 문화에 대한 교과 학습은 초등 1학년 때부터 설날, 추석과 단오를 통해 명절의 의미, 명절에 하는 놀이, 명절 음식을 배우는 것을 시작으로 매년 조금씩 확대되면서 초등 6학년까지 지속적으로 배우게 된다. 따라서 미리 이런 관련 도서를 읽어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