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핀 해바라기 크레용 그림책 28
제임스 메이휴 지음, 사과나무 옮김 / 크레용하우스 / 2001년 8월
평점 :
절판


 

미술관과 해바라기라는 제목을 보고 센스있는 사람이라면 고흐를 떠올렸을 지도 모르겠다. 그렇다. 이 책은 유명한 미술 작품들에 관한 얘기다. 그 중에서도 후기 인상주의를 대표하는 빈센트 반 고흐, 폴 고갱, 폴 세잔의 작품들이 등장하는 책이다. 그렇다고 이들의 작품이 무엇인지만을 알려주는 화집은 아니다.

  이 그림책은 이 세 화가의 작품을 소재로 해서 재밌는 동화를 들려준다. 이 책의 주인공 케이트는 할머니랑 마당에 꽃씨를 심은 뒤 미술관에 가게 된다. 케이트는 특히 고흐의 <해바라기> 그림을 좋아하는데, 이 날은 왠지 해바라기가 바싹 말리 보였고 꽃씨로 가득 차 있는 것이 보인다. 그걸 본 순간 그 해바라기 씨를 가져다 마당에 심고 싶은 생각이 든다. 그래서 저도 모르게 그림에 손이 갔고 그림 속의 꽃병을 톡톡 두드렸는데 꽃병이 흔들리다가 그림 밖으로 떨어지고 해바라기랑 해바라기 씨도 모두 바닥에 흩어진다.

  이렇게 이 그림책은 그림을 통해 이야기가 연결된다. 그 다음에는 고갱의 <춤 추는 브르타뉴 소녀들>이라는 그림이 나오게 되고, 또 고흐의 <밤의 카페 테라스>, 폴 세잔의 <사과와 오렌지>, 고갱의 <타히티의 전원>이라는 그림들이 등장하게 된다. 왜 케이트는 이런 그림들과 마주쳤고, 해바라기 그림을 망쳐놓게 된 것을 원상 복구할 수 있게 될지 아이들이 아주 궁금해 하면서 읽을 수 있는 재미있는 그림책이었다. 쉽게 말해서 그림 몇 장을 놓고 하나의 재미난 이야기를 꾸며가는 방식이다. 아이들이 유명 화가들의 그림도 감상하고 상상력도 키울 수 있는 독특하고도 즐거운 책이었다. 책 뒤편에서 이들 화가들에 대한 소개도 담겨 있다.

  보통 그림 하면 감상하는 것으로 끝이 나게 되는데, 그 이후에 그림을 가지고 창의력을 키우는 학습을 할 때 참 좋을 것 같다. 화보집에서 아이에게 마음에 드는 그림을 몇 장 고르게 한 뒤 이야기를 꾸며 보게 하면 참 좋을 것 같다. 그냥 이야기를 상상해보라고 하면 아이도 힘들 텐데, 그림을 보면서 이야기를 지어내는 것은 어렵지 않게 다가설 수 있을 것 같다. 이야기 속에서 각 그림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지, 또 어떤 이야기 구조를 만들어 가는지, 똑같은 그림을 주고도 아이에 따라 전혀 다른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 흥미로운 창의력 키우기 방법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