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생각 초등 저학년을 위한 책동무 4
이상권 지음, 김병하 그림 / 우리교육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엄마가 돌아가신 지 참으로 오래 되었다. 그러고 보니 올해로 꼭 20년째다. 물론 나는 스무 살이 넘은 나이에 엄마가 돌아가셨기 때문에 엄마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랐고 엄마에 대한 추억도 많다. 그래서 엄마 생각이 더 많이 난다. 내 막내 동생에게는 12살 때 엄마가 돌아가셨다. 너무 오래 되었기 때문에 내 동생은 엄마 생각이 별로 나지 않는다고 한다. 돌아가시기 두어 해 전부터 엄마가 편찮으셨기에 엄마에 대한 좋은 기억이 별로 없나보다. 그 말을 들으니 엄마의 사랑을 보다 많이 받은 내가 동생에게 많이 미안해진다.

  엄마가 일찍 돌아가셨기 때문에 엄마를 생각하면 눈물부터 난다. 한 없이 그리워지고. 물론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엄마가 살아계시더라도 그동안 잘못한 일들이 생각나면서 더 잘 해드려야겠다는 생각이 샘솟을 것이다. 아마 엄마 생각을 하라고 하면, 당장 전화라도 한 통 하게 될 것이다. 엄마 목소리라도 들으려고.

  그런데 이 책의 주인공인 여덟 살짜리 유경이의 마음은 오죽 하겠는가? 유경이가 네 살 때 아빠는 사고로 돌아가시고 엄마도 돈을 벌어 오겠다며 유경이만 할머니께 남긴 채 서울로 떠나간다. 요즘에는 편모, 편부, 또 조부모 슬하에 사는 어린이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부모에 대한 그리움을 간직한 아이들이 많다.

  우리나라 속담에도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는 어떤 사람이 있을 때는 몰라도 없어지면 더욱 더 생각난다는 뜻이다. 이 아이들에게 그 난 자리가 얼마나 크게 느껴질까? 유경이는 엄마가 돌아오기를 손꼽아 기다리지만 끝내 엄마는 돌아오지 않는다. 그런 유경이의 모습이 너무 안쓰러웠다. 유경이의 엄마가 빨리 돌아와서 유경이가 할머니랑, 그리고 자신이 사랑하는 개 평돌이와 함께 오순도순 살기를 기원한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 책은 자기 자식을 버리는 어른들에 대해서, 그리고 버려지는 아이들에 대해서 초등학생들도 생각하게 하기 위해 썼다고 한다. 그러면서 그런 아이들에게 어른으로서 너무나도 미안하다고. 이런 미안한 일들이 안 생겼으면 좋겠다. 버려진 아이들에게는 그 어떤 말도 위로가 못 되니까. 그렇지만 어쨌든 이런 문제는 우리 아이들도 알아야 할 사회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들이 어른이 되어서는 결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