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교로 간 터줏대감 ㅣ 눈높이 어린이 문고 91
전다연 지음, 전병준 그림 / 대교출판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 아이들이 외국의 신인 그리스-로마 신들은 좔좔 외면서도 정착 우리나라의 각 가정을 지키는 가신들-터줏대감, 성주나리, 부뚜막신, 삼신할미, 측간각시-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전혀 없다는 것은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어른이 나 역시도 부뚜막신인 조왕신과 심산할미, 터줏대감 정도만 알고 있을 뿐이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집안의 각 장소마다 신이 따로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들은 한 마디를 한 집안을 지켜주는 수호천사들이다. 그리고 이 신들은 그 집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정성을 먹고 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깨끗한 물 한 대접, 따뜻한 밥 한 그릇이 이들에게 사람들이 받치는 정성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요새는 이들에게 그런 정성을 바치는 사람도 없고, 아니 그런 신들이 있다는 것 자체를 알지 못하고 있으니 정말로 이 신들이 슬퍼할 것 같다. 또한 이 신들의 말처럼 지금의 가옥구조 또한 신들이 거주하기에 적합하지도 않다. 부뚜막도 없고 대문도 없고 어두컴컴한 측간(화장실)도 없으니 어디에 거주하겠는가?
하지만 예전부터 우리 조상들이 집안의 안녕과 복을 위해 집안 곳곳에 신을 설정하고 그 신들에게 정성을 들이고 정갈한 마음으로 복을 빌고 화를 멀리 보내기 위해 애썼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대문에는 대문신을, 부엌에는 부뚜막신을, 집을 지키고 보호하는 신으로는 성주나리를, 자손의 탄생과 건강을 돕는 신으로는 삼신할미를, 땅을 맡아 다스리는 신으로는 터줏대감을, 화장실을 지키는 신으로는 측간각시를 두었다. 집안을 깨끗이 쓸고 닦는 것에서 나아가 집안 곳곳에 의미를 두고 정성을 들임으로써 집안에 화복을 불러오고자 했던 우리 조상들의 소박하고도 따뜻한 마음씨를 느낄 수 있었다.
또한 괜한 일로 말썽꾸러기로 몰려서 친구들에게 왕따를 당한 창수가 겪게 되는 마음의 상처와 다시 친구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과 그 과정에서 창수네 집안의 가신이었던 수호신들이 도와주는 이야기가 즐겁게 펼쳐져 있다. 신들은 어디서 살고, 어떤 이야기를 하고, 어떻게 아이들을 도와주는지 재밌게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