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해져라 너구리 파랑새 사과문고 62
이상규 그림, 이미애 글 / 파랑새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산에서 사는 우리나라 토종 너구리 '흰눈이'는 눈 같이 하얀 털을 가져서 흰눈이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가족과 함께 산 속에서 행복하게 살았는데, 그 산에 사람들이 골프장을 건설하게 되면서 보금자리를 잃고 다른 곳으로 옮겨가려다가 아빠 너구리와 엄마 너구리를 사고를 잃은 뒤 자신의 살뜰히 보살펴주는 오빠 너구리 꼬리별과 마을 가까이까지 오게 됩니다. 그곳에서 만난 너구리를 통해 동물원이 동물호텔이란 얘기를 듣게 됩니다. 마땅히 옮겨갈 산도 찾지 못했는데 흰눈이의 하얀 털은 밤에 활동하는 너구리들에겐 사람들 눈에 잘 띄기 때문에 활동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 그래서 흰눈이를 동물원에 보내기 위해 너구리들은 동물원에 대해 알아보러 가게 됩니다. 동물원이 결코 행복한 곳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지만, 흰눈이는 다른 너구리들에게 더 이상 짐이 되기 싫어서 동물원에 들어가서 살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이 얘기를 읽으면서 지리산에 방사되고 있는 반달곰들이 생각났습니다. 곰들이 야생에서 살 수 있도록 지리산에 풀어놓아 주는데, 사람들이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멧돼지를 잡기 위해 놓아둔 올무나 덫에 걸려 죽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던 뉴스가 생각났습니다. 아울러 시골에 가다 보면 산을 다 밀어내고 도로를 새로 놓은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데 그 때마다 그 산에 살던 동물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하는 궁금증과 걱정이 들었습니다. 동물들이 살 수 있는 산들이 점점 없어지니 이러다가 이 지구상에는 사람들만 남게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전에 천성산 터널 때문에 단식을 했던 지율 스님도 떠오릅니다. 사람들에게 편리한 것도 좋지만 환경을 위해서 천성산에 터널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단식을 했던 그 스님 말입니다.

  더불어 사는 세상,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사람들의 편리함만을 위해 많은 야생동물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환경파괴적 행동은 이제 그만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들에게 동물도 가족이 있고 가족간의 사랑이 있으며 사랑받아야 할 존재이자 행복을 누려야 하는 존재임을 생각하게 하는 동화였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비록 동물원의 동물을 보더라도 즐거워하는 마음 한켠에 보금자리를 잃고 그 곳에 있어야 하는 동물들의 딱한 처지에 대한 연민을 떠올릴 수 있는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아이들로 자라났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