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힘껏 산다 - 식물로부터 배운 유연하고도 단단한 삶에 대하여
정재경 지음 / 샘터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결에 내가 꽃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사진을 찍고 있다. 내가 꽃사진을 찍게 된 것은 언제라도 손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휴대폰의 등장 덕도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자연이 좋아진다고 하는데, 그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지금은 꽃 사진도 열심히 찍고 이름도 알아두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작은 화분이나마 여러 개 키우고 있다. 그래도 워낙에 무엇을 키워내는 재주가 없어서인지 잘 키우지는 못해서 이 책의 저자 같은 사람이 너무 부러웠다.




이 책의 저자 정재경은 잡지사의 편집자와 미용 브랜드의 마케터를 거쳐 식물에 대한 글쓰기를 통해 등단한 작가다. 브런치라는 글쓰기 플랫폼에 연재한 식물에 대한 글 덕분에 <우리 집이 숲이 된다면>이 출간된 뒤에 식물에 대한 글을 꾸준히 쓰고 있단다. 이와 관련된 내용이 63쪽의 파파야 편에 소개되어 있다.



이 책은 작가가 키웠던 식물에 대한 이야기다. 4부에 걸쳐 색연필로 그린 듯한 그래서 더 소박하면서도 정감이 가는 식물 그림을 시작으로 38가지 식물과 연관된 생각과 일화를 담았다. 수련, 체이세이지, 로즈메리, 접란, 미스김라일락, 아보카도, 관음죽, 파타야, 살구나무 등 나무도 있고 꽃도 있다. 이 중에는 내가 이름을 알거나 키워본 것도 있고 이름조차도 처음인 것도 있다. 아이와 그림책을 보다가 호기심으로 사서 먹은 아보카도의 씨를 심었는데 싹이 났다는 이야기, 일과 공부가 힘들어 지친 몸을 이끌고 늦은 밤 집에 갔을 때 향기로 위로하던 로즈마리, 나무 한 그루 심을 만한 공간에 심으려고 박완서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찾았던 살구나무 등등 다양한 일화를 들려준다. 이런 꽃과 나무의 이야기를 들려주니 더욱 식물이 사랑스럽게 느껴진다.



요즘은 반려식물이라고 해서 식물을 정성껏 키우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주위에 수목원도 점점 더 생겨나고. 그만큼 식물에게서 받는 위로와 힘이 많다는 이야기다. 그것을 책으로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던, 기분 좋은 이야기였다. 덕분에 여러 식물에 대해 알게 되었고 더 사랑으로 키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우리집 아파트 화단의 매화, 동백을 시작으로 다양한 꽃들 덕에 출퇴근 시간에 눈의 피로로 풀고 기분도 위로를 받고 있다. 이 책은 내 주위의 그런 꽃들만큼 미소와 따뜻함을 준다. 책의 디자인도 그 속에 담긴 이야기만큼 너무나 예쁘고 사랑스러워 갖고 싶은 마음이 솟아난다. 그리고 식물을 더 키우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한다. 참 잘 읽었다.


 *책세상맘수다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쓴 주관적인 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