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생긴 서울을 걷는다 - 제10회 브런치북 대상 수상작
허남설 지음 / 글항아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서울에 살지는 않지만 박물관 탐방과 문화 행사 관람을 좋아해서 서울에 자주 가며 서울의 이곳저곳을 걸어서 다녀봤다. 그래서 이 책 <못생긴 서울을 걷는다>가 성북구의 북정마을처럼 골목길이 많은 곳을 소개하는 책인 줄 알고 보게 됐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걷기 가이드가 아니라 지은 지 오래된 집들이 많아 낙후된 마을의 재개발 문제를 다뤘다,

이런 마을은 건물이 오래돼 거주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무분별하게 건축했기 때문에 도로 등의 생활 편의 시설도 정비가 잘 되어 있지 않아 재개발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렇게 재개발은 원거주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업이지만 막상 사업 후에 보면 원거주자의 비율은 얼마 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그들이 받는 주택 보상비로는 이전보다 못한 환경의 주거지에 정착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현재 서울에는 뉴타운 개발 사업에 의해 많은 옛 동네들이 아파트촌으로 바뀌어 재개발이 필요한 곳이 백사마을과 숭인/창신동 지구 정도라고 한다. 이 중 백사마을은 뒤늦게나마 현대 초기의 생활 모습 보전 지역으로 지정돼 이전의 뉴타운 개발과는 다른 방향으로 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그렇게 되려면 해결 과제가 많음도 지적한다. 나는 워낙에 이런 쪽에 지식이 없었는데 덕분에 재개발의 의미와 그 영향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다.

내가 살고 있는 인천이야말로 재개발 붐이다, 최근 3~4년 사이에 일반 주택촌이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바뀐 곳이 한두 곳이 아닌데 지금도 아파트를 짓고 있는 곳이 다수다. 진짜 상전벽해다. 그런 곳에서 어른들이 모여 이야기를 하고 아이들이 어울려 놀던 정겨웠던 골목의 풍경은 상상도 할 수 없다. 이웃과의 왕래도 마찬가지다. 대단위 아파트에서도 육아 등의 공동체 활동이 있기는 하지만, 말 자체도 마을이 아니라 커뮤니티라고 할 정도로 옛날의 배려와 협력이 있던 공동체는 아니다. 나도 그래서 가끔은 주택에 살던 때가 그립니다,

그렇다고 이제라도 옛 모습을 남기기 위해 남은 마을이라도 재개발하지 않은 채 그대로 있으라고 할 수는 없다. 그곳 주민들의 안전과 생활 편의를 위해 재개발은 불가피하지만 이 책에서 설명한 창신동과 근처의 작은 의류공장들과의 관계, 세운상가 주변의 재개발로 와해된 공구상가의 상권 사례 등을 통해 볼 때 원거주자의 재거주율을 높이고 그들의 경제 활동 상황이나 그곳과 연계된 산업 관계 등을 고려한 재개발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다각적인 고려가 없었기에 달동네나 꽃동네의 재개발 이후에 지하 방이나 고시촌이 생겨났음도 알게 되었다.

저자는 백사마을이 돈의문마을처럼 무늬만 마을인 죽은 마을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진정한 마을 보전이 무엇이며 누구를 위한 재개발인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나는 그동안 이런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어서 매우 흥미롭게 읽었고, 이 책이 재개발이 가진 문제를 제기한 만큼 이에 대한 답글 내지 그 해법을 다룬 책도 찾아봐야겠다. 아무튼 이 책은 우리나라의 주택 문제를 보여주고 있기에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읽어봤으면 좋겠다.


*카페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