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친코 1 - 개정판 ㅣ 코리안 디아스포라 3부작
이민진 지음, 신승미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2년 7월
평점 :
소설 《파친코》는 1910년부터 1989년까지 80여 년간에 걸친 4대에 관한 고단한 역사를 담고 있다. 예전판을 읽어봤는데 선자이름도 틀리고 매끄럽지 않은 번역을 재가공해서 새로운 출판사와 역자로 개정했다. 표지도 바뀌었고 느낌이 조금은 달랐다. 작가 사인도 무척 강렬했다.
이민진 작가 소개
한국계 미국인인 이민진은 이민 1.5세대로 30년간 쓰고 탈고한 이 소설로 '제2의 오스틴'이란 명성을 얻었다. 가족은 1970년 7살 때 화장품 회사 영업사원으로 지내던 아버지를 따라 이민을 결심했다. 함경남도 원산 출신 아버지, 부산 출신 어머니 밑에서 자랐지만 유년 시절을 미국에서 보내 미국 문화에 익숙할 텐데도 한국 이름 이민진을 고수하는 뚝심을 보인다.
작가 소개 중'쥐가 나오는 방 한 칸짜리 아파트에서 다섯 식구가 살았다'라고 말했듯. 지긋지긋한 가난과 부모의 출신이 고스란히 소설 속에 반영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요일도 없이 자식 뒷바라지에 희생으로 일관하신 부모님의 사랑을 받고 자라 예일대 역사학과와 조지타운대 로스쿨을 졸업했다. 이민 성공신화가 된 이민진은 기업 변호사로 일하고 있었지만 B형간염으로 건강이 나빠져 변호사를 그만두게 된다. 이후 고교 시절부터 재능을 보인 글 쓰는 일을 시작했다.
2004년 단편 《행복의 축》, 《조국》 등을 발표했으며, 2008년 장편 데뷔작 《백만장자들을 위한 공짜 음식》이 11개국에 번역 출판되며 전미 편집자들의 올해의 책으로 뽑혔다. 미국 픽션 부분 '비치상', '신인작가를 위한 내러티브상'등을 받으며 승승장구했다.
《파친코》는 픽션이지만 거시적으로는 한국사 미시적 관점으로 개인사를 녹여낸 작품이라 할 수 있는다. '이민자'라는 키워드로 한국에서 일본, 미국으로 이어지는 가족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여정이다. 한국, 북한, 미국은 작가의 가족 역사의 반영이며 재일조선인(자이니치)에 대한 묘사는 일본계 미국인 남편을 만나면서 시작되었다. 남편이 도쿄의 금융회사에서 근무하면서 일본에서 4년간 생활하게 되었다. 이때 일본에서 생활하며 겪었던 어려움이나 에피소드를 취재와 연구를 통해 깊게 이해하며 《파친코》를 집필할 수 있게 되었다.
내국이면서 외국인인 이민의 역사를 다룬 소설은 구상부터 탈고까지 꼬박 30년이란 세월이 쌓여 완성된 작품이다. 시작은 1989년 예일대 수업 중 느낀 분노였다. 한국인의 DNA를 가졌다는 이유로 따돌림을 당하다 결국 자살한 일본 중학생의 이야기였다. 스스로 선택할 수 없는 선천적 태생으로 고통받는 본인과 가족의 슬픔에 깊게 공감했다.
파친코의 줄거리
소설은 단순한 4대 가족 이야기를 떠나 전 세계 관통하는 이방인의 뿌리와 정체성, 차별과 유배, 순응과 투쟁의 역사서다. 부산 영도 태생의 몸이 아픈 훈이와 결혼한 가난한 소작농 넷째 딸 양진의 딸 순자, 선자가 일본으로 건너가 낳은 한수의 아들 노아, 남편 이삭의 아들 모자수, 그리고 그의 아들 솔로몬까지 이어진 핏줄의 이야기다.
더불어 고난의 시대를 살았던 '여성'들의 아픔과 연대에 관한 이야기다.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모든 인물을 소개하고 있지만 '선자'를 중심에 두고 진행되는 1부는 미혼모가 될 뻔했던 선자의 영혼을 구해준 목사 이삭이 있어 가능했다. 선자의 어머니 양진의 고난부터 시작한다. 양진은 장애를 가진 남편을 일찍 여의고 없는 살림에 살뜰히 하숙을 운영했다. 형 요셉이 거쳐갔던 곳. 그 인연으로 이삭을 사위로 맞이하게 된다.
이후 선자가 이삭의 아내가 되어 오사카에 정착, 형님인 경희와 친자매처럼 지내며 김치사업과 아들 둘을 돌보는 과정은 뭉클하고 감동적이다. 소설 속에는 시대의 벽에 부딪혀 남편을 따라 좌우되는 여성의 삶 속에 있으면서도 집안을 일으키려고 고군분투했던 두 여성(선자, 경희)의 생활력이 고스란히 서술된다. 결혼으로 인해 바뀌는 여성들의 잔인한 인생이 구슬프다.
남성들은 하나같이 쓰러져갔다. 선자의 남편 이삭은 어릴 때부터 병약했고 오사카에서 신사참배를 거부, 옥고를 치르다 죽는다. 어린 선자의 마음에 불을 지른 후 노아를 임신케 한 한수는 가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자에게 현지 아내를 해달라고 요구한다. 형님 경희의 남편 요셉은 어떤가. 가장으로서 성심성의껏 일하지만 조선인이란 이유로 승진은커녕 불가촌민이 사는 동네에서 살며 멸시를 당한다. 끝까지 자존심을 지키며 기울어진 집안을 일으켜 세우려 들지만, 결국 원폭 피해를 받아 불구의 몸으로 죽지 못해 살아간다. 병 수발과 생계, 육아까지 모두 여성의 몫이된다.
고통의 유산은 비단 한국-일본-미국만이 아닌 전 세계를 관통하는 '떠돌이'의 삶에 투영할 수 있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보편적인 정서다. 하물며 같은 나라에서 타지역으로 이사만 가도 텃세를 경험하게 되는데. 식민지, 전쟁, 내전, 가난으로 이어지는 지난한 불행의 직격탄을 맞은 사람들은 편견앞에 부서졌다. 살기 위한, 자손을 남기려는 본능과 필사적 생존이 낱낱이 기록되어 있다.
파친코 감상 소감
1부는 1910년부터 1949년 '고향'이다. 찰스 디킨스의 문구가 강렬하게 떠돈다. "고향은 이름이자 강력한 말이다. 마법사가 외우는, 혹은 영혼이 응답하는 가장 강력한 주문보다 더 강력한 말이다." 2부는 1953년부터 1989년까지 '조국'이다. 박완서 작가의 말이 주제를 압축하고 있다. "아무리 고개를 넘고 내를 건너도 조선 땅이고 조선 사람밖에 없는 줄 알았다" 솔로몬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콜롬비아대를 졸업하고 영국계 은행에 취직했지만 일본인 상사에게. 배신당해 좌절하고 파친코를 잇게되는 솔로몬의 이야기다.
파친코는 알 수 없는 확률로 일확천금을 딸 수도 있는 도박게임이다. 불확실성을 알면서도 빠져들 수밖에 없는 중독성의 게임에 운명을 한탕주의를 재일동포의 삶에 비유했다. 돈을 딸지 모른다는 작은 희망의 여지가 남아 있는 한 계속 게임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과 닮았다. 일확천금을 딸 수도 다 잃고 나락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인생이란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불확실성에 기대는 노름이다. 계획하에 움직이고 모든 것이 정해진 듯 보여도 피치 못할 우연과 관계로 인해 틀어지고 조각난다. 때문에 단순한 도박 이야기로 치부서는 안되는 작품이다. 3년만다 외국인 등록증을 갱신하고, 외국여행을 갈 수 없고, 화이트칼라로 취직이 어려운 자이니치의 삶. 파친코만이 부와 권력을 얻을 수 있는 길이지만 야쿠자라는 오명까지 갖게되는 동전의 양면 같은 길인거다.
이방인의 삶은 바람 앞의 등불이다.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사람들은 전쟁, 정치, 경계의 흐름 앞에 이리저리 휩쓸려서 치열한 삶을 살게 된다. 나라를 지키지 못한 무능한 왕조, 한국전쟁 후 나뉘게 된 정부로 인해 일본, 중국, 러시아 등으로 뿔뿔이 흩어져 살게 된 이민의 비참한 삶을 녹였다. 책임지지 않는 정부 고통받는 국민. 비극적인 한국의 근현대사를 한 가족의 4대에 걸친 역사 속에 담으며 억척스럽게 고난을 극복하고 성공하려던 잔인한 과거다.
그리고 '여성'의 '한'과 가족의 '정'에 관한 이야기다. 양진-선자-경희로 이어지는 가난과 핍박의 역사와 일본 호스티스 에쓰코(모자수의 아내)와 그녀의 딸 하나까지 이어진 질곡의 역사도 가슴 아프다. 여인들이 있어 핏줄은 이어왔고 가난을 면하고 성공할 수 있었다는 점이 와닿는다. 세상을 움직이는 게 남성이라고 하지만 그 남성을 낳은 여성이 있기에 인류는 발전하고 세대를 거듭하는 거다.
오랜만에 소설을 제대로 옮긴 영상물이다. 드라마 [파친코]도 기회가 된다면 꼭 시청하길 바란다. 우리나라 역사를 진정성 있게 풀어낸, 웰메이드 미국 드라마다.
본 리뷰는 도서 지원 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