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과 정의 - 문학으로 읽는 법, 법으로 바라본 문학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안경환.김성곤 지음 / 비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영화는 언제나 진리로 통한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영화라는 필터로 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실제 보거나 경험하지 못한 것을 비유할 때는 늘 이런 수식어가 붙는다. "그거 영화에서 봤는데.." 아니면 "그거 책에서 읽었는데.."였다.

 

때문에 영화를 소재로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한 책도 즐겨 본다. 우연히 알게 된 책 《폭력과 정의》는 법의 관점에서 영화를 본 두 사람이 쓴 책이다. 법학자 안경환과 영문학자 김성곤이 의기투합했다. 책에 논의된 영화와 문학 작품은 법과 영화 그리고 문학의 상관관계를 성찰하는 좋은 계기가 된다.

 

참으로 법 관련 영화들이 있고, 내가 보지 못한 영화가 너무 많음을 개탄했다. 챙겨 봐야 할 영화 목록이 또 늘어났다. (ㅜㅜ 세상에는 왜 이리도 좋은 영화들이 많은 건지.. 시간이 없다, 시간이 없어.) 영화만 있는 게 아니다 20편의 소설과 36편의 영화로 들여다본 폭력과 정의를 논한다.

 

미국에서 공부한 사람들답게 미국 영화와 한국 영화들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 영화 속에서 법률가가 주인공인 경우가 많은 이유도 책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국 사회에서 영웅이 사라지고 있다는 현실이다. 전쟁과 혁명, 이데올로기가 사라지고 안정된 세계가 되면서 그 자리를 법이 차지하게 되었다. 새로운 시대에 영웅이 하던 일을 법률가가 맡게 된다. 미국은 어느 나라보다도 법이 국민의 일상생활 속에 뿌리 깊게 박힌 나라기 때문에 그렇다. 법률가는 현실을 직시해 새로운 시대의 가치관을 제시하는 일을 담당하고 미국인의 삶과 맞닿아 있다.

 

또한 성공한 사람의 표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월스리트 변호사는 그중에서도 차상위계층의 성공이다. 자본과 인권이라는 정반대 분야의 법률가야말로 가장 드라마틱 한 주인공으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영화에서 여성과 법에 관한 도전적인 영화도 흥미롭다. 최근 여성인권과 여성 법률인, 여성 영화인이 두각을 나타내면서 새롭게 조명 받아야 할 영화들도 보인다. 1999년 개봉한 강우석 감독의 <생과부 위자료 청구 소송>은 남편이 회사에서 승승장구하며 가정에 매진하지 않아 아내가 회사를 상대로 위자료를 청구하는 이야기다. 그 변호를 받은 변호인이 남성 쪽은 명성기 변호사, 여성 쪽은 이기자 변호사를 선임하는데 변호사 또한 부부 사이다. 영화는 여성과 남성의 대결로 흐르게 되는데 당시 변호사라는 직업의 환상을 깨고 사회를 비판하고 성 윤리를 고발하는 블랙코미디로 씁쓸함을 자아낸다.

 

상업영화도 많다. <메이즈 러너>,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굿 윌 헌팅>, <괴물>,<설국열차>, <공동경비구역 JSA>, <국제시장>, <부산행> 등 이름만 대면 알만한 영화들이 계급, 정치, 여성, 규정 등으로 소개된다. 영화와 책을 좋아하고 그 안에서 법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궁금한 독자들에게 추천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론 2020-01-10 2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와 폭력 두가지는 어떠한 면에서는 뗄레야 뗄 수 없는 상관관계라는 생각이 듭니다. 인권에 관한 그리고 두분 전문가의 견해가 돋보이는 책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doona09 2020-01-11 20:36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 두 분야의 전문가들이 견해를 들어볼 수 있어 흥미로운 독서였습니다. 맞습니다! 영화와 폭력은 항상 함께 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