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긋기

전쟁을 `주권자에게 더없이 명예롭고 즐거운 일(la plus digne et la plus agréable occupation des souverains)`이라 생각했던 루이 14세의 관심을 끌기 위해 콜베르가 의도적으로 지나치게 군사적 상상력을 부각시킨 점이 없지 않다. 하지만 콜베르는 17 세기 후반 서유럽의 정치가들과 상인들이 대체로 인정하고 있었던 바, 즉 무역은 전쟁의 한 형태임을 좀더 날카롭게 전달하고 있었을 따름이다. 클라우제비츠[1780~1831]의 말을 바꿔 쓰자면, 전쟁은 다른 수단들이 혼합된 상업의 연장이었다. 이러한 시각은 18 세기 초 네덜란드를 제치고 유럽의 선도적인 상업 세력으로 떠올랐던 영국에서 가장 열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12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10-10 00: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본이 무기를 대신하는 전쟁이라고 생각하니 바로 이해되네요..^^.

오거서 2016-10-10 23:28   좋아요 1 | URL
ebs 다큐를 보고, 동인도회사를 설립한 네덜란드는 독립을 위한 군비를 마련하기 위해서 무역에 집중하여 부국이 되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당시 무역은 유럽 대륙 바깥에 식민지를 넓혀서 생산 기지로 삼고 돈이 되는 물자를 수입하여 타국에 팔아 큰돈을 마련하였다고 합니다. 큰돈벌이를 위해서 당시 선단을 공격해 선적물품을 가로채는 일이 다반사였다고 합니다. 영국 해군이 해적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아니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cyrus 2016-10-10 17: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주권자라 쓰고, `권력자`로 읽었습니다.

오거서 2016-10-10 21:47   좋아요 0 | URL
cyrus 님의 댓글을 보고 다시 생각해보니 프랑스 혁명 전이군요. 루이 14세는 ˝짐은 곧 국가다˝라는 말을 했다고 전해질 정도로 절대군주의 상징이니까 권력자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