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0 쪽이 넘는 책. 그리고, 책값이 깡패다. 책 두께와 분량만으로 압도 당하는 느낌이다. 책 제목만 봐서는, 자바스크립트 책인데 왜 이리 두꺼운지 모르겠다. 예제가 많은가. 그래도 그렇지. 목차를 보고나니 의구심이 풀린다. 자바스크립트와 뗄래야 뗄 수 없는 웹 개발 기술이 총망라되어 있다. 원서의 제목은 번역서와는 좀 다르다. (일단 여기서 말을 아낀다.)

초보자는 이 책을 끝까지 보기 전에 중도 포기하라는 압박이 장난이 아닐 것이다. 중급자한테는 두꺼운 분량의 절반 이상은 아는 내용이지 않을까 싶다. 과연 누구를 위한 책일까, 아리송하다.

물론 책이 필요한 사람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르겠지만, 분량 압박을 고스란히 건뎌내는 지구력과 재력을 부디 갖추었기를. 아무튼 역경을 이겨낸다면,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실력이 붙은 후 읽기 더 좋은 책들도 있음이 뽀너스. 아래 책들은 그저 참고 삼아…

읽은 책이 아니라서 평가는 미룬다.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10-02 15:5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프로그래밍 언어인데 자바스트립트..이거 컴터 전공한 분들도 쉽지가 않다고 하던..ㅎㅎㅎ

오거서 2016-10-02 23:27   좋아요 3 | URL
예전에 동네에 주산 학원, 컴퓨터 학원이 있었어요. 그 당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익히는 첫 단계로 베이직 언어를 배웠죠. 지금은 워드, 파워포인트를 배워 자격증을 따는 것을 대신한 셈인데 당시 컬러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경험하는 것은 즐거움이자 자신감이 되기도 하였지요. 그게 중요한 지식으로 인정되었던 것이 PC 운영체제였던 MS-DOS 내에 베이직 해석기가 내장되어 있었기 때문이지요. 저도 나중에 알았습니다. 이제는 DOS를 거의 사용하지 않지요. 윈도 도스 창이 남아있기는 하지만요.
요즘은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웹 기술이 중요해졌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사파리 등 웹 브라우저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웹 브라우저에 내장된 프로그램 해석기가 자바스크립트입니다. 예전의 베이직처럼요. 자바스크립트 문법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복잡하지 않지만 융통성이 허용되다보니 배우는 것보다 사용하기가 까다롭습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것이 복잡합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전공자조차도 마스터 하는 데 애를 먹기도 하지요.

서니데이 2016-10-02 15:5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문가(또는 전공자)를 대상을 한 책인 모양이네요. 그냥 어려워보입니다. ^^;;;

오거서 2016-10-02 23:21   좋아요 2 | URL
네. 어려워보이나요, 책이 1100 페이지가 넘는 이유가 그래서 그럴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