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이동통신사들이 데이터 요금제에 부가세액을 제외한 금액으로 월정액을 표기하면서 소비자한테 혼란을 야기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를 시정하고자 7 월에 미래창조과학부가 통신요금 개선 방안을 내놓았다. 10 월부터 요금제 금액은 부가세를 포함한 실제 납부액을 표기하여야 하고, 요금제 명칭에 부가세액을 제외한 금액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지난 달에 SKT는 월정액 대신에 데이터 제공량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밴드 데이터 요금제의 명칭을 변경했다. 기존 29,900 원에 무제한 통화가 가능한 ˝밴드 데이터 29˝ 요금제는 ˝밴드 데이터 세이브˝로 명칭이 바뀌었다.

새로운 요금제 명칭만으로 소비자 입장에서 지출 금액을 알 수 없다. 이건 꼼수가 아닐까 싶다. 말이 나온 김에 한 마디 더 보탠다. 앞에서 예로 든 요금제는 통화는 무제한이지만, 기본 데이터 제공량이 300MB로, 저화질로 드라마 한 편도 끝까지 볼 수 없고, 음원 서비스로 음악을 하루 한 곡을 들을 수 없다. 500 MB만 되어도 말을 아낄 텐데… 비교해 보면, SKT는 다른 통신사보다 데이터를 적게 준다. 아주 짜다. 소비자를 위해서가 아니라 회사입장에서 ˝데이터 세이브˝하는 요금제임을 이번에 공식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10/1부터 LG유플러스도 데이터 제공량 위주로 요금제 명칭을 변경한다고 한다. 이제까지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월정액을 요금제 명칭에 붙였었다. 앞으로, 월정액 35,900 원 요금제는 데이터 제공량 1.3 GB에 맞춰 ˝데이터 1.3˝으로 바뀐다.

KT는 새로운 데이터 요금제 명칭에 부가세를 포함한 총액을 표기하고 있다. 부가세 제외한 월정액이 29,900 원인 ˝데이터 선택 299˝는 부가세를 포함한 금액이 32,800 원이므로 ˝데이터 선택 32.8˝로 바뀌었다.

서비스 내용은 그대로인데 명칭에서 숫자가 바뀌었다. 금액에 부가세액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금액 표시가 커지는 것이 못마땅한 통신사는 금액 대신 데이터양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고객이 데이터 제공량을 알지 못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불편함을 겪는다고 여기는 것인가. 데이터 중심 시대에 데이터 제공량을 바로 확인 가능한 이름이라서 소비자 선택에 도움이 된다? 글쎄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도입한 새로운 요금제 이름이 ˝기존보다 기억하기 쉬운 방식˝인지는 두고 볼 수 밖에. 소비자가 똑똑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눈 뜨고 코 베이는 꼴을 면하기 어렵겠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ureka01 2016-10-01 11:1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마 통신료에 한 국가전체가 이렇게 매달리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죠. 통신은 발달되어도 마음의 이입은 적어지는 모순은 어떡해 할까요....차라리 편지 쓰던 시대 보다 못한 시대가 된듯해서요.

오거서 2016-10-01 12:20   좋아요 2 | URL
통신이 발달되지 못했던 과거를 상상해보면 지금은 어쩌다 선로 장애가 생기거나 기지국이 먹통되어야 경험하는 일시적인 통신 단절이 과거에는 평상이었겠지요. 그런 불편함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마음을 잘 쓰고 다독거려야 했을 겁니다. 서신을 준비하고 보내고 기다리고 상상하고 답을 받을 때까지 시간이 꽤 걸렸을 테죠. 지금은 통신이 마음 씀씀이 할 겨를 없애버리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통신 기술이 발달하여 즉문즉답이 가능하니 순간적인 판단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그러니 마음의 이입보다는 머리를 쓰는 계산이 많아진 탓이지 않을까요.

2016-10-01 15: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0-01 15: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6-10-01 15:3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제도가 달라져도 그 제도 내용이 뭔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이 함정입니다. 나이 드신 분들이 스마트폰을 장만할 때 제일 난감하죠.

오거서 2016-10-01 17:41   좋아요 1 | URL
이해되지 않는 것이 함정이라는 말은 맞아요. 그런데 이번에는 이해하기 더욱 어렵게 되었다는 겁니다. 월정액에 부가세액을 제외시켜서 실제 부담 금액을 착각하게 만드는 것을 못하도록 막으려 했더니 아예 다른 수를 써서 업체가 불리한 상황은 피하면서 소비자가 더욱 헷갈리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제는 나이 드신 분이 아니라도 난감할 수 있습니다. 저도 그렇지만 소비자 대부분이 셈에 밝지 못하거든요.

2016-10-02 15: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