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슴이 콱 막혀왔다. 소설 속 주인공 김지영 씨가 살아온 나날들이 왠지 남일 같지 않아서.
그녀에게는 위로 두 살 많은 언니가 있고, 아래로는 다섯 살 터울의 남동생이 있다. 그리고 책 제목이 말해주듯 그녀는 82년생이다. 즉, 김지영 씨는 아들을 중시하는 시대에 태어났는데 이것만으로도 우리는 그녀의 할머니가 손자를 얼마나 아꼈을지, 그래서 김지영 씨와 그녀의 언니는 어떤 어린 시절을 보냈을지 충분히 예상 가능하리라.
  아니나 다를까 없는 살림에도 멀쩡한 것, 좋은 것은 항상 막내 차지였다. 언니와 김지영 씨는 누나라는 이유로 늘 막내에게 양보해야 했는데 누가 봐도 그건 막내라서가 아닌, ‘아들’이기 때문에 하는 차별이었다. 만약 그 집에 장남이 있고 막내가 여자아이였어도 과연 막내에게 모든 것을 양보했을까. 아니, 그렇지는 않았을 거다. 오히려 이번에는 연장자를 챙겨야 한다며 오빠, 장남에게 양보하라는 말을 들었을 가능성이 크다. 결국 이렇든 저렇든 우선시 되는 건 ‘아들’이기 때문이다.
 

 

  남녀 차별이 유년시절에만 있는 일시적 현상 같은 것이면 얼마나 좋을까. 그랬다면 소설 속 김지영 씨도 그렇고 그녀와 별반 다르지 않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 현실의 수많은 김지영 씨도 덜 힘들고 덜 피곤하고 덜 좌절스러웠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남녀 차별은 남자와 여자가 있는 곳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일단 한번 생기면 잘 사라지지 않는 습성을 지녔다. 이 소설 역시 김지영 씨의 유년기를 넘어 학창시절, 취업, 결혼, 출산, 육아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 곳곳 알게 모르게 널리 퍼져 있던 여러 성차별적 요소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에 작가는 각종 통계수치와 기사를 바탕으로 김지영 씨의 이야기에 보다 확실한 구체성과 사실성을 불어넣고 있었다.

 


  다시 한 번 느끼지만 한국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녹록지 않은 일인 것 같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 말 자체가 남자들이 쉽게 산다는 의미는 아니다. 경쟁 사회에서는 누구나가 힘들고 어려운 법이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와중에 성차별적인 부분은 여전히 존재한다.
  아무리 시대가 바뀌었고 인식이 달라졌다 하더라도 삶 곳곳에서는 남녀차별이 만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회식자리에서 달라지지 않는 부분도 있고 아무렇지 않게 외모평가 하는 것도 그렇다. 업무배정과 임금격차는 여전하며 살림과 육아에 대한 인식도 여전히 여자가 해야 한다고 인식되는 가운데 남자는 ‘돕는다’라는 표현을 쓴다. 그리고 그것만으로도 큰일을 하고 대단한 일을 하는 것처럼 말이다.

 

"애 좀 크면 잠깐씩 도우미도 부르고, 어린이집도 보내자. 너는 그동안 공부도 하고, 다른 일도 알아보고 그래. 이번 기회에 새로운 일을 시작할 수도 있는 거잖아. 내가 많이 도울게."
정대현 씨는 진심이었고, 그런 남편의 뜻을 잘 알면서도 김지영 씨는 불쑥 화가 났다.
"그놈의 돕는다 소리 좀 그만할 수 없어? 살림도 돕겠다, 애 키우는 것도 돕겠다, 내가 일하는 것도 돕겠다. 이 집 오빠집 아니야? 애는 오빠 애 아니야? 그리고 내가 일하면, 그 돈은 나만 써? 왜 남의 일에 선심 쓰는 것처럼 그렇게 말해?" (p.143~144)


  이쯤에서 누군가는 안 그런 회사도 있고 안 그런 남자도 있다며 반박할지 모르겠으나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그런 사람이 전혀 없다는 게 아니다.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안 그런 사람 보다 그런 사람이 더 많다는 것, 그리고 성차별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에 대해 머리로만 알뿐 실질적으로는 늘 하던 대로 문제 있는 말과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 바로 그것이 문제라는 거다.
 

"예전에는 방망이 두드려서 빨고, 불 때서 삶고, 쭈그려서 쓸고 닦고 다 했어. 이제 빨래는 세탁기가 다 하고, 청소는 청소기가 다 하지 않나? 요즘 여자들은 뭐가 힘들다는 건지."
  더러운 옷들이 스스로 세탁기에 걸어 들어가 물과 세제를 뒤집어쓰고, 세탁이 끝나면 다시 걸어 나와 건조대에 올라가지는 않아요. 청소기가 물걸레 들고 다니면서 닦고 빨고 널지도 않고요. 저 의사는 세탁기, 청소기를 써 보기는 한 걸까. (p.148~149)

 

  김지영 씨가 출산 후 아기 돌보랴 집안일 하랴 손목이 아파서 집 앞 정형외과를 갔는데 그곳의 할아버지 의사는 그녀에게 요즘 여자들은 뭐가 힘드냐며 타박을 한다. 뭘 모르는 소리다. 세탁기가 있고 청소기가 있어도 기본적으로 집안일이라는 건 누군가의 노동력과 시간이 필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직접 빨래를 하고 청소를 해봤다면 저런 소리는 할 수가 없다. 게다가 예전에 방망이를 썼든, 불을 때서 일을 했든 그마저도 의사 본인은 전혀 하지 않았을 일 아닌가.
  말해봤자 입만 아프다. 결혼 전에는 어머니가 해주는 밥을, 결혼 후에는 아내가 해주는 밥을 먹으며 여전히 손 하나 까딱 안 하는 남자들. 그들은 집안이 깔끔하고 식탁에 차려진 음식을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하는데 그것은 엄청나게 큰 착각이 아닐 수 없다. 세상에 당연한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가족을 위한 수고는 엄연히 고맙고 감사하게 여겨야 할 일이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이 부분이 어디 오롯하게 남자로 인한, 남자만의 문제인가 싶기도 하다. 같은 여성이지만 어느 정도는 어머니들의 교육방식에도 그 책임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어머니들은 자신도 여자로 태어나 어렸을 때 그렇게나 차별을 받았음에도 결국에는 그들의 아들에게 똑같이 집안일이든 뭐든 손끝 하나 대지 못하게 하시는 분들이 많다. 자식 고생시키기 싫어서, 그리고 집안일이 서툴러 그냥 자신이 하고 말지,라는 이유를 대시지만 정작 딸에게는 자신이 겪었던 차별을 그대로 대물림하니 이 또한 남녀 차별이 되풀이되는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

 


  어찌 되었든 오늘도 현실의 김지영 씨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잘 버티기 위해 고군분투 중일 것이다. 가끔은 부당한 대우에 속상하기도 하고 마땅히 해결 방법이 없어 많이 답답할 그녀들. 대신 뭔가 해줄 수는 없어도 적어도 그녀들에게 ‘남들도 다 그러고 산다’는 식의 말은 하지 말도록 하자. 그런 말은 스스로 자신에게 다독이면 모를까 충분히 답답하고 힘든 가운데 남이 그런 식으로 하는 말은 마치 뭘 그리 유난스럽게 구느냐, 별거 아니라는 것처럼 들려 오히려 당사자의 마음을 후벼 파는 꼴밖에는 되지 않는다.
  그보다는 격려와 지지, 이해와 배려가 좀 더 필요하며 그녀들도 그 누구보다 열심히 애쓰고 있고 노력하고 있는, 마찬가지로 누군가의 소중한 가족이라는 점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