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묵시록 - 상
신용우 지음 / 작가와비평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란 어찌 보면 그 시대를 살았던 모든 이들의 삶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접하는 교육은 기본적으로 왕을 중심으로 업적을 나열하고
크고 작은 몇몇 사건들을 짧은 시간에 훑어 주는 것뿐이다.
역사란 그저 과거의 일이 아니다. 현재와 미래를 거쳐 ‘지금’이 되었다.
그러니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들여다보고 탐구하여 단단하게 발판을 다질 필요가 있다.


요동묵시록은 1부는 <소현세자가 부르던 노래>, 2부는 <효종이 부른 노래>로 나뉜다.
프롤로그를 보면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정조가 영암 유득공에게 비서(秘書)를 전해주는
장면이 나온다. 박제가의 선조가 소현세자를 보필해 청나라에서 승지로 생활하며
소현세자와 효종대왕이 적은 것을 직접 받아 비밀리에 가문에서 보관해 오다 정조에게 전한 것이다.
이 비서는 총 2권으로 되어 있었다.
상(上)권은 소현세자가 청나라에 머무는 동안 쓴 것,
하(下)권은 소현세자 승하 소식 후 봉림대군이 그때부터 기록을 남긴 것이다.
정조는 유득공에게 이 비서가 대진국 발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말한다.
비서는 소현세자가 청나라에 볼모로 가면서 독백하는 장면으로 시작했다.
복잡하고 답답한 심정에 한숨이 나온다.
명나라를 최고라 생각하고 청나라는 오랑캐라고 여기며 끝까지 싸워야 외쳤던 양반 사대부들,

그런 신하들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며 결단력이 없었던 인조에 대한 한숨이다.
물론 그동안의 친명배금정책이 자리하고 있었으니 쉽게 바꾸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청 태종이 코앞까지 들이 닥친 상황에서도 저들끼리 말로만 내세울 뿐 실질적으로
백성과 국가를 위해 한 것은 무엇이 있나 묻고 싶을 정도다.
어찌되었든 청나라엔 소현세자와 둘째 봉림대군이 볼모로 가게 된다.
소현세자는 생각이 깨어있는 왕세자였다. 볼모로 가 있는 시간 동안 먼 훗날을 생각해
백성들의 삶에 도움을 주는 기술 이상의 무언가를 배우고 터득하고자 마음먹는다.
그러려면 언어가 원활해야 한다며 청나라 군사와 관리들과 더 자주 말을 할 정도였다.
그는 용문대에게 대진국 발해 태생인 황보장군을 소개 받아 대진국 역사에 대해 듣고 이야기를 나누며,
천문학에 밝은 천주교의 아담 샬 신부를 만나 서양 문물과 사상에 대한 것도 접하게 된다.
그 모든 것을 기록한다. 그리고 자신의 나라를 위해 청나라 전장에서 싸우기도 한다.
소현세자는 봉림대군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청나라가 싸움을 잘하고 못하고의 문제가 아니다.
청나라가 전쟁을 이기고 지고의 문제도 아니다.
나라의 기본인 백성들이 명나라를 등지고 있다.
특히 농민들이 계속되는 가뭄과 그 가뭄 와중에도 과중한 세금을 수탈하는
관리들의 등쌀에 굶주림을 견디지 못하고 반란을 일으키고 있다.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이 누구냐? 그가 바로 농민 출신이다.
그렇다면 명나라의 기간은 농민이다.
그런데 그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켜 명나라 군사들을 죽였다.
민심이 완전히 명나라를 떠난 것이다... (중략)” -요동묵시록上 p.184-



소현세자는 정세의 흐름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다.
그러나 조선 조정에서는 이런 소현세자를 오랑캐 청나라 앞잡이가 되어 명나라에 대적한다며 갖은 오해와 억측을 했다.
일시적인 환국이 두 번 정도 있었지만 그 때마다 소현세자를 맞이하는 분위기는 차가웠다.
청 세조가 등극을 선포한 후, 드디어 소현세자는 청나라에 온지 만 8년 만에 조선으로 환국하게 된다.
어쩌면 소현세자에게는 자신의 나라보다 청나라가 더 안전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는 학질에 걸린 지 사흘 만에 독살을 당해 죽게 된다.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자.
만약 다른 이가 청나라 볼모로 잡혀 있었다면 어땠을까.
끝까지 오랑캐의 나라에 인질로 와 있다며 득이 될 만한 기술들을 보려 하지도 않았을지도 모른다.
또한 황보장군과 못 만났을지도 모르는 일이고 대진국 역사에 대한 이야기는 시작조차 못했을지도 모른다.
백성을 생각하고 나라를 위해 멀리 내다보는 눈을 가졌지만 그 뜻을 펼치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
이야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효종이 들려줄 이야기를 펼쳐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