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사는 동안에 - 사랑으로 세상을 움직인 감동 실화
게리 채프먼 지음, 서현정 옮김 / 예담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마음이 기분 좋게 간질간질 거린다.
마치 겨울처럼 꽁꽁 얼어있던 땅이 봄기운에 움트는 것처럼.
책을 읽고 나니 《함께 사는 동안에》라는 책 제목이 더욱 애틋하게만 느껴진다.
함께 한다는 것. 함께 살아간다는 것.
사실 누군가와 함께하는 시간들은 얼마나 감사하고 행복한 일이던가.


사람 관계에서의 사랑이란 무엇일까?
선뜻 무어라 답하기 힘들다.
그 범위도 크기도 가늠할 수 없는 게 사랑이니까.
사랑을 ‘무엇이다’라고 결론지을 수는 없을 것이다.
사람마다 그 형태나 크기나 생각이 저마다 다르니 분명 사랑도 그 수만큼 될 것이다.
분명한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무언가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사람과 사람사이에서는 당연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부부이든, 이웃이든, 가족이든 말이다.
다시 말해 사랑한다고 해서 당연한 것은 없다.
관계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가 함께 이루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랑하니까 자신을 이해해주고 양보해주며 자신의 뜻대로 반응해주길 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에게 되묻고 싶다.
사랑한다면 어째서 본인은 상대방에게 먼저 그렇게 해주지 못하는지를.
서로가 부딪치는 상황이라면 어째서 남을 배려하기보다 자신이 배려받기만을 바라는지를.
자기만을 아는 마음이 과연 사랑일까?


존은 스프링필드의 노부인을 통해 상대방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되돌아보는 마음을
배웠다. 엘시는 조금 특별한 꼬마 몰리를 위해 가르치는 것을 포기하는 대신
학습장애아 교육법 과정에 등록해 소통하려고 애썼다.
페이스는 치매인 어머니를 간호하기 위해 전업목사 일을 관두고 집도 판 다음
어머니 집으로 들어갔다. 그러면서 웃는 법도 배우고 인내심도 키우며 어머니의 달라진
모습을 받아들이고 새롭게 사랑하는 방법을 택했다. 그는 매일이 어머니를 사랑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라고 말한다. 빌리는 불임으로 힘들어하는 아내와 결혼 상담을 받다가
아내가 원하는 것이 문제 해결이 아닌 자신이 어떤 심정인지 귀 기울여주고 생각에
공감해주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았다. 때로는 곁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해변 산책을 좋아하는 셰일라는 그렇지 않은 남편을 보며 부부 관계에서도 서로 타협하고 양보하며 주고받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준다. 


이처럼 책 속에는 마음을 따뜻하게 하는 수많은 사연들을 담고 있다.
이 책이 감동적인 이유는 단순히 실화여서만은 아니다.
힘들고 괴로웠던 사람 관계 속에서 스스로가 먼저 인내하고 노력해 결국은 서로가 함께
사랑으로 거듭나는 그 변화가 가슴 뿌듯한 것이었다.
그 과정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기에.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좋아한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기에.
그래서 이야기 하나 하나 너무나 애틋하고 감동적이었다.


사람과 사람이 함께하다 보면 누구나 좋은 날도 있고 나쁜 날도 있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금세 눈에 띄지는 않더라도 사람이라면 누구나 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기 마련입니다.
사랑한다면 눈도 귀도 입도 막아서는 안 됩니다.
그래야 좋은 것도 받아들이고 나쁜 것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p.2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