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적인 당신의 강점에 주목하라 - 내성적인 당신에게 잘 맞는 자기 PR 시크릿
낸시 앤코위츠 지음, 신현정 옮김 / 갈매나무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대체적으로 사람들은 내향적인 사람에게 이렇게 말한다.
‘그런 너의 강점을 살려라.’ 대신 ‘외향적으로 변해야 한다.’라고.
마치 내향적인 성향이 잘못된 것처럼 말하는 어조로 말이다.
아니, 잘못되지 않았더라도 바꿔야 한다고 강요한다.
‘다르다’를 인정하기 보단 ‘틀리다’라고 주장하는 것에 너무 익숙해진 사람들.
그 사람들 속에 휩쓸려 자신의 본 모습을 놓치지는 않았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외향적인 성격으로 거듭나지 마라. 



프롤로그의 첫 문장은 짧고도 강렬하기에 왠지 유쾌한 기분마저 들었다.
그렇다.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없었다.
자신이 몰랐던 자신의 내재적인 장점이며 강점들을 이 책에선 하나하나
짚어주고 있었으니까. 더불어 내성적이기에 어려웠고 약했던 부분에 대해 적절한
조언을 아끼지 않고 있으니 이 책 한권이면 몰랐던 자신에 대해 많은 부분
발견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내성적인 사람은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 그 앞에서 말하는 것에 자신이 없다.
심한 경우에는 자신에 대한 소개를 요청받았을 때 머릿속이 새하얗게 변하며
긴장부터 하는 사람도 있다.
그저 자신에 대한 것을 얘기하는 것인데도 말이다.
그렇다면 사람들 앞에서 어떻게 해야 편안해질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잘난 척이 아니라 효과적으로 자기 PR을 할 수 있을까. 



특별히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때, 중압감과 긴장감이 큰 상태에 있다면
사기를 북돋는 자신만의 긍정적인 카드를 만드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확신에 찬 긍정적인 메시지는 마법의 주문이 되어 자신감을 불러일으킨다.
한편 노력하는 당신 옆에서 꼭 약점을 들춰내고 꼬투리를 잡으며 부정하려는
이들도 있으니 참으로 불쾌하고 힘 빠지게 하는 사람들이 아닐 수 없다.
책의 저자는 감히 단언한다. 누군가 당신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해서 스스로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지 말라고, 당신에게 잘못만을 일깨우는 사람을 계속
만날 필요는 없다고 말이다.  



자신의 강점을 발굴하는 것에 집중해보자.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다면 책에서 제시한 것처럼 드림팀을 구성해
지지를 얻는 방법도 있고 책에 나열된 질문에 답해봄으로써 리스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그것이 끝이 아니다.
강점들을 알았다면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 다음 단계다.
내성적인 사람에게 잘 맞는 PR방법으로는 인적 네트워킹, 언론,
글쓰기와 블로그 활용법 등이 있으니 충분히 자신을 내보이고 전략적으로 목적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직접 사람을 만났을 때라든가 프레젠테이션에서 두려움을 이겨내고 발표하는 방법 역시 세세하게 조언해준다. 



책을 읽다보니 내향적인 것, 외향적인 것을 떠나
전체적으로 내려지는 나만의 결론이 있었다.
우선 자기 자신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자신을 알아야 상황에 맞는 대처는 물론 약점도 때론 강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으로 의사소통이든 목표를 향한 PR이든 초점은 상대방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상대방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이런 상대방에게 당신은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
큰 줄기를 잡을 수 있다면 반은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