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소통의 법칙 67
김창옥 지음 / 나무생각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유쾌한 소통의 법칙 67》.
이 책은 다른 사람들은 물론 그 이전에 자신을 들여다보고
진정 그 안에서 나를 찾아 발견해 안에서 밖으로 이끌어주는 책이었다.
사람은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이다.
학교, 직장, 종교, 취미생활을 위한 모임 등등 싫든 좋든 타인과
관계라는 것을 맺고 살아간다. 그러니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기 위해선
어떤 행동을 하고 어떤 대화법이 필요한지가 하나의 관심사가 되었다.
그렇다보니 정작 ‘나’ 자신은 스스로와 잘 소통하고 있었는지
신경 쓰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솔직히 말하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그 방법조차 몰랐다고 말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다.


튼튼하면서도 여유로운 건강한 마음.
그래서 살아가는데 힘이 되어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자신과의 대면.
이 책의 저자는 소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67가지 법칙을 들려준다.
그저 허울 좋게 듣기 좋은 말이 아니라 자신의 과거를 솔직하게 내보이며
편안하고도 스르륵 따뜻함이 스며들듯이 그렇게 많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상처나 결핍이 아픔으로 끝나지 않고 인생을 살게 하는
또 하나의 에너지가 될 수 있음을 알게 해주었으며,
마음의 밀도를 나타내는 심밀도라는 표현을 통해 마음 역시 신체 못지않게
사랑과 운동, 위로가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자신이 자신을 위해 해줄 수 있는 것은 무척 많았다.
일상의 놀라운 선물을 발견하고 때로는 힘을 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름다운 추억은 사람을 강하게 만들어주며 자신을 위한 파이 한 조각을
남기는 것 역시 기억해둬야 할 부분이다.
 

어느 사이엔가 마음을 유쾌하게 토닥여주는 책.
읽는 내내 기분 좋은 미소를 짓게 해주던 그런 책이었다.


**


영감을 얻고 평온함을 얻기 위해서 분주하지 않은 자신만의
'깊은 산속 옹달샘' 하나쯤은 갖는 것이 좋다. 내가 누구인지,
그리고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비운 그곳에서 나의 내면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107p.


이 순간, 우리를 움츠러들게 만드는 수많은 마음의 묵은 때를 향해
소리쳐보자. '그게 뭐 어떻다고!'
"So what?"이라고 외치며 속 시원한 장외홈런을 쳐보자. 마음의
묵은 때가 떨어져나간 그 자리에 남은 '나', 당당하지 않은가. 133p.


새로운 것을 접하기 위해서는 많이 만나야 한다.
좋은 책, 좋은 정경, 좋은 사람과의 만남이 우리를 변화시킨다.
좋은 책은 우리가 몰랐던 것을 알게 해주고,
알지만 깨닫지 못했던 것을 깨닫게 해준다.
또 좋은 정경은 우리의 마음을 정화시켜주고 평정심을 찾게 해준다.
그리고 좋은 사람은 우리에게 긍정의 에너지를 주고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이런 좋은 만남을 통해 우리는 기회를 찾기도 하고,
자신의 꿈을 이룰 '길'과 만나기도 하기 때문이다. 19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