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자신의 인생을 떠올려봤을 때, 이 책의 화자 토니 웹스터는 그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삶이 너무 좋지도 않았지만 그렇다고 너무 나쁘지도 않았으며 그럭저럭 평균치 정도는 된다고. 이만하면 괜찮다고. 육십 대가 되어 은퇴를 한 그는 이혼한 전처와 친구처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딸 수지와도 잘 지내고 있다. 술친구들도 있고 여자친구들도 있다. 나름 평온하다면 평온하고 안락한 삶이다. 그러나 누가 알았겠는가. 편지 한 통으로 인하여 확실하고 분명하리라 여겼던 자신의 기억이, 그리고 개인의 역사라 할 수 있는 그 시간이 어쩌면 자신이 생각한 것과 달리 완전한 착각이요, 불완전한 것이었음을 말이다.

 


  어느 날, 토니는 고故 사라 포드 여사의 유언으로 오백 파운드와 함께 에이드리언의 일기장을 유품으로 받게 된다. 사라 포드 여사는 대학교 때 사귀었던 베로니카의 어머니로, 그는 왜 사라 포드 여사가 자신에게 돈을 남겼고 그녀가 왜 자신의 친구 에이드리언의 일기장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기만 하다. 그러나 자신의 이십 대를 아무리 떠올려 본들 기억에는 한계가 있고, 본인이 만족할만한 답은 찾기 어려웠다. 게다가 베로니카와는 헤어진 후 어떠한 연락이나 만남도 없었던 터라, 의문과 미스터리는 더해져만 갔다. 무려 사십 년 전의 일인 것이다.

 

이제 나는 알고 있다. 역사는 살아남은 자, 대부분 승자도 패자도 아닌 이들의 회고에 더 가깝다는 것을. (p.101)


에이드리언이 줄곧 인용했던 말이 무엇이었나? '역사는 부정확한 기억이 불충분한 문서와 만나는 지점에서 빚어지는 확신이다.' (p.106)

 

 

 

  일기장은 현재 베로니카가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기장 대신 그가 건네받은 것은 문제의 그 편지, 자신이 쓴 기억이 전혀 없지만 그럼에도 본인이 쓴 것이 분명한 편지 한 통이다. 이십 대의 그때, 화자는 베로니카와 헤어진 후 에이드리언에게서 그녀와 데이트를 해도 되냐는 편지를 받은 적이 있다. 토니 자신의 기억에 따르면 본인은 엽서에 ‘모든 것을 유쾌하고 즐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라는 식의 답변을 했다. 그러나 베로니카가 준 자신의 편지는 그야말로 경멸, 악담, 저주, 악의가 넘쳐나는 가히 경악스러울 정도의 글이었다.

 

 


  토니는 그 편지에 대해 ‘내가 그 편지를 썼다는 사실이나 그렇게 험담을 퍼부었다는 것을 부인하기가 어려웠다.’(p.169)면서도 편지를 쓴 기억이나 보낸 기억이 없어 당황스럽기만 하다. 그래서 조금 억울해하기도 한다. 그때의 나와 현재의 나는 다르다면서. 그리하여 그는 자신이 그렇게 나쁜 놈이 아니라고 어떻게 입증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뿐이다.

 


  이를 두고 헤어졌더라도 전 여자친구와 자신의 친구가 사귄다는 소식에 그 정도 글은 쓸 수 있는 것 아니냐 하는 시선도 있을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러한 편지를 쓸 수 있다 없다의 문제가 아니라 그 편지에 담긴 내용과 정도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험담을 퍼부었다’는 표현조차도 너무나 정중하고 매너 있게 포장해준 거다. 실질적인 내용을 읽는 순간 깜짝 놀라고 말았으니까.

 


  우리는 알고 있지 않은가. 누군가 자신에게 심한 말을 했을 때, 그것은 큰 상처가 되어 오랫동안 지옥에서 사는 것 같은 경험이 될 수도 있음을. 그리고 어떠한 말들은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아물지 않을 수도 있음을. 그런데 상대는 그런 말을 한 기억이 전혀 없다며 오히려 잘못 알고 있는 거 아니냐고 이쪽을 이상한 사람 취급한다면 이 얼마나 억장이 무너지는 일인가. 그러니 소설에서 편지가 드러나는 이 부분은 여러모로 중요한 의미가 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과거를 회상하는 데 있어, 사람들의 불확실한 기억이라든가 어떤 가정도 추측도 필요 없게 한다. 그 자체로 기억의 허점을 채우며 실질적 입증이 가능한 셈이다.

 


  편지로 인해 토니는 자신의 기억에 대한 왜곡을 깨달았을 것이다. 나로서는 토니란 인물에 대해 다시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 그것도 그럴 것이 소설 1부에서는 토니의 시선과 기억을 따라 그의 학창시절, 대학생활, 베로니카와의 연애, 인생 전반을 둘러보지 않았던가. 그는 스스로 베로니카에게 그렇게까지 열정이나 미련이 없음을, 헤어진 뒤에도 그녀를 그렇게 많이 생각하지 않았으며 이후 연애도 하고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고, 은퇴할 나이가 되기까지 불화를 싫어해서 싸움이 될만한 일은 만들지 않았고, 꼬투리 잡힐만한 말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은 더더욱 아닌 것처럼 보여줬다. 그런데 편지를 읽고 보니 과연 둘이 동일인물이 맞나 싶을 정도로 그 차이가 너무나 컸다. 그 상황에 극히 이성적일 수 없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한다. 그러나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본인은 전혀 그런 내색이 없었고 다 받아들이며, 거기에 크게 신경 안 쓰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냐 하는 것이다. 자기에게 불리한 부분은 아예 기억조차 하지 못하니 그가 말하는 자신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편지가 아니었더라면, 우리는 토니의 기억에 의존해 여전히 아무 의심 없이 토니가 그리는 그의 모습만을 봤을 것 아닌가. 그리고 자신이 한 말이나 행동을 아예 기억도 못 한다고 해서 그가 안 한 것이 되지는 않는다.

 


  그런데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더욱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난다. 그것은 바로 이 편지가 그대로 실현되어 베로니카와 에이드리언의 삶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그리고 맨 마지막 결말은 독자들에게 놀라움을 안겨주는 충격적인 반전으로 끝이 난다.
  물론 알고 있다. 토니가 정말 그렇게 되길 바라며 저주를 퍼붓고 악담을 한 것은 아닐 것이이다. 그렇게 될 줄 알았다면 (아무리 기억에 없다 하더라도) 그런 편지는 쓰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어렸으니까, 치기 어린 감정이니까,라는 이유로 넘어가주어야 할까? 그러나 그것으로도 덮을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어떤 상황, 어떤 말이든 선이 있고 정도가 있으며, 말은 한번 내뱉으면 주워 담을 수 없으니까. 그러니 그에게 책임이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마지막 부분에 이르러 그 역시 이러한 점을 깨닫는다는 점이다. 길지 않은 분량이지만 여러 가지를 사유하게 하는 줄리언 반스의 소설, ‘결국 기억하게 되는 것은, 실제로 본 것과 언제나 똑같지는 않은 법’(p.11)임을 다시 한번 마음에 아로새긴다.

 

나는 책임의 사슬을 보았다. (...중략...) 거기엔 축적이 있다. 책임이 있다. 그리고 이 모든 것 너머에, 혼란이 있다. 거대한 혼란이. (p.2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