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 - 일본근대문학과의 비교고찰
시나다 히로코 지음 / 역락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나다 히로코(眞田博子: 인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은 정지용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가 만들어놓은 권위 있는 통념에 구애받지 않고 문헌연구와 작품분석을 통해 나름대로 평가를 내리려고 시도한 책이다.(이 책은 인하대학 박사 논문을 수정, 봉환한 것이다.)

 

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이란 표현은 시인이자 평론가인 김기림(金起林: 1908 - ?)이 정지용(鄭芝溶: 1902 - 1950)에 대해 한 최초의 모더니스트라는 정의에서 비롯되었다. 정지용은 일본 교토에 유학한 존재로 도시샤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윤동주가 도시샤 대학을 선택한 것은 그가 스승으로 삼은 정지용이 다닌 학교였기 때문이다. 정지용은 일본에서 대시인 기타하라 하쿠슈(北原白秋: 1885 1942)의 큰 영향을 받았다. 하쿠슈는 다이쇼 말기에 동시(童詩)라는 말을 썼고 정지용이 최초기에 발표한 작품 중에서 동시 개념에 잘 맞는 게 많다.

 

지용 시 어디선가 하쿠슈 냄새가 풍기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하쿠슈가 애용했던 시어나 이미지가 지용 작품에 산견(散見)되기 때문이다.(51 페이지) 하쿠슈와 정지용 작품에 공통되는 또 하나의 특징은 화자(話者)의 존재가 시 뒤에 숨어 전경(前景)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정지용의 향수슬픈 인상화를 봐도 거기서 묘사되는 풍경과 화자와의 사이에 어쩔 수 없는 거리가 있어 마치 화자가 풍경 속으로 들어가지 못해 슬픈 눈으로 멀리에서 바라보기만 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56 페이지) 하쿠슈가 일본에서 사상성, 사회비판성을 결여한 시인이라는 평을 받은 것처럼 정지용도 한국에서 비슷한 평을 받았다.(57 페이지)

 

하쿠슈가 형안(炯眼)으로 정지용을 뽑아 추천했듯 정지용은 공평하고 엄격한 전형으로 숨어 있는 신선한 재능을 발굴하려 했다.(58 페이지) 하쿠슈가 그가 편집한 문예 잡지인 근대 풍경의 투고 작품에 지나치게 하쿠슈 냄새가 풍긴다는 비판을 받은 것처럼 정지용은 양주동에 의해 지용의 시풍이 시단을 풍미하는 나머지 많은 신인 시인이 지용의 모방이 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58, 59 페이지)

 

정지용은 자신보다 앞선 한국 근대 시인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61 페이지) 저자는 정지용, 주요한, 김소월 등이 일본어로 시를 쓴 것은 불가피하게 거쳐야 했던 과정이라 말한다. 그들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당연한 것처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한국어 구어문체는 개척자들의 외로운 분투 끝에 얻어진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63 페이지)

 

저자는 고아는커녕 조혼한 정지용이 일본에서 고아의 꿈이란 시를 쓴 이유를 식민지 청년으로서 문화마저 크게 다른 일본에서 문화적 고아의식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라 말한다.(73 페이지) 정지용은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다. 본명을 그대로 쓸 수 있었지만 발음은 일본 식으로 데이 시요라 했다.

 

같은 도시샤 대학이라 해도 태평양 전쟁 말기라는 억압이 가장 혹독한 시기에 유학 간 윤동주의 어렵고 고독한 상황과는 여러 면에서 큰 차이가 난다.(74 페이지) 정지용의 도시샤 대학 유학은 1923년에서 1929년 사이에 있었다.(윤동주의 경우는 1942년에서 1943년까지이다.)

 

정지용은 일제 강점기 조선민예 연구가로 광화문 철거를 공개적으로 반대했던 일본의 미학자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 - 1961의 제자였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윌리엄 블레이크연구자로 유명했다.(저자는 일본에서 블레이크의 선구적 연구자로 알려진 사람은 뜻 밖에도 야나기 무네요시라 말한다.: 116 페이지)

 

야나기 무네요시는 민화(民畵)라는 말을 만든 사람이다. 저자는 정지용을 모더니스트로 본 김기림의 말과 모더니즘은 이마지슴이라는 등식을 삼단논법으로 활용해 정지용 = 이마지스트로 본 이상한 논법이 있게 되었다고 주장한다.(91 페이지)

 

에즈라 파운드가 만든 이마지슴 3원칙을 보자. 1) 주관적이든 객관적이든 사물을 직접 취급할 것, 2) 제시(presentation)에 도움이 안 되는 말은 절대 쓰지 말 것, 3) 리듬에 관해서는 메트로놈에 의거하지 말고(틀에 박힌 운율을 쓰지 말고) 음악의 악구(樂句: phrase) 같은 흐름으로 시를 지을 것 등이다.

 

저자는 향수‘, ’카페 프란스등의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이 시에는 종려나무, 장명등, 루바쉬카, 보헤미안 넥타이, 페이브먼트, 울금향, 대리석(大理石) 이국종 등의 시어가 등장한다. 이 가운데 울금향은 무엇일까? 울금은 향신료이지만 울금(鬱金)향은 튤립이다. 저자의 야나기 무네요시(유종렬; 柳宗悅; 1889 - 1961) 언급은 정지용이 도시샤 대학 시절 야나기 무네요시의 강의를 들었다는 사실이 증언된 것과도 관련지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부분이다.

 

저자는 야나기 무네요시에 대해 일본에서 윌리엄 블레이크의 선구적 연구자는 뜻 밖에도 야나기 무네요시라는 말을 한다.(116 페이지) 이 말만으로 부족했는지 사나다 히로코는 도시샤대학 영문과의 역사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우리는 너무나 의외로운, 그러나 낯익은 이름에 부딪힌다는 말을 한다.(154 페이지)

 

이는 영문학 전공자가 아닌 야나기 무네요시가 스물 다섯의 나이에 윌리엄 블레이크에 대한 선구적 연구로 큰 화제를 낳았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무네요시의 파격은 뜻 밖이란 말, 너무도 의외롭다는 말로 설명해도 지나치지 않다.

 

정지용은 "'백록담'을 내놓은 시절이 내가 가장 정신이나 육체로 피폐한 때다.. 친일도 배일도 못한 나는 산수에 숨지 못하고 들에서 호미도 잡지 못하였다."는 말을 했다.(197 페이지) 당시 친일 강요는 조선총독부로부터 뿐 아니라 조선인 문사배(文士輩)들로부터도 있었다.(197 페이지)

 

저자는 조선의 민중예술에 관심이 깊었던 무네요시가 시인 지망생인 정지용을 어떤 눈으로 보고 있었는지 또 정지용이 야나기 교수를 어떻게 생각했었는지 그것에 관해서는 남겨진 글이 없어서 수수께끼로 남을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저자는 20년대 초기시에서 지용이 현실적 사회문제를 직접 묘사하지 않는 작품에 있어서도 사회적 문제를 개인화하고 내면화한 근대인의 고뇌라는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현실을 그렸다고 할 수 있다고 말한다.(178 페이지)

 

저자는 우주의 질서를 카톨릭이라는 정연한 체계로 이해한다는 것은 암울한 시대에 시인이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었을 것이며 서양문명의 하나인 카톨릭을 믿는다는 것은 서양에 대한 절망이나 적의를 가질 계기를 없애고 서양제국의 식민지 상태에서 아시아를 해방한다는 대동아전쟁의 허무한 이론에 현혹당해서 친일로 흘러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했을 것이라 말한다.(179 페이지)

 

해방 후 정지용의 심경은 참으로 참담한 것이었다. 해방 전 '문장'지가 폐간될 때까지는 혹독한 검열 아래에서 그래도 그는 훌륭한 작품을 써서 발표했는데 막상 광복을 맞이하고 나니까 어찌된 일인지 시를 쓸 능력이 다 고갈해 버린 것처럼 도무지 시를 쓰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이다.(222 페이지)

 

저자는 정지용의 좌경을 현실을 분석하고 작품에 반영시킴으로써 문학으로 사회현실에 개입하는 의도의 결과로 분석한다.(224 페이지) 저자에 의하면 지용의 정치사상은 소박, 온건한 것이었다.(227 페이지)

 

정지용은 시작 활동을 시작했을 당초부터 문학에 사회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다만 그것을 직접 나타내는 것보다 개인적 차원으로 전환시켜서 시적으로 표현하는 게 적당하다고 믿었던 것이다.(229 페이지) 저자는 정지용과 같은 유명인사가 친일행위를 거절한다는 것만 해도 1930년대 후반 이후에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고 말한다.(230 페이지)

 

정지용에게 뚜렷한 친일 작품이 없었다면 그가 그런 대로 저항했었다고 평가해도 될 것이다.(230 페이지) 여태까지 감각 밖에 없는 시로 간주되어 온 작품도 선입견을 버리고 작품 자체를 보면 어떤 때는 강한 사회성을 읽을 수가 있으며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현실과 고투하는 자아를 찾을 수가 있다.(231 페이지)

 

1920년대 전반에 일본의 근대적 기제 속에 들어간 지용으로서는 새로운 언어를 창출할 필요가 있었다. 낡은 언어로는 근대 도시에 사는 자의 생활감정을 표현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가 스승 하쿠슈에게서 배운 것은 작품상의 기법만이 아니라 시인으로서의 삶 전체 즉 새로운 언어를 개척하는 단독자의 자세라고 할 만한 것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지용에게 외국 문학의 영향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으며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거나 부정적으로 평가할 이유는 아무데도 없다. 그는 근대인의 감정을 구어 한국어에 담을 길을 거의 혼자서 개척했다.(231 페이지)

 

정지용 작품에 이르러서야 처음 한국인은 자기 감정의 구석구석까지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을 얻었다. 민족이라는 것이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님은 이미 상식으로 되어 있지만 민족의 개념을 확고히 해서 민족의식을 가지기 위해서는 민족고유의 언어라는 것이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저자는 자기들의 사상이나 감정을 자유롭게 표할 수 있을 만큼 언어가 성숙해지면 사람들은 마치 먼 옛날부터 그런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해 온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고 말한다.(232 페이지)

 

감각적 표현이라는 것이 사람으로 하여금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만든다고 생각하면 근대인 또는 도시인의 생활감정이나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를 처음으로 남김없이 표현했을 뿐 아니라 근대인의 심리를 표현할 수 있는 언어를 창출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시인 정지용은 한국 문학이 근대로 들어갈 결정적 계기를 마련한 시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235 페이지)

 

정지용은 문학조류의 하나인 협의의 모더니즘을 도입했을 뿐 아니라 문학의 근대화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김기림의 말대로 최초의 모더니스트라 할 수 있다.

 

사나다 히로코의 최초의 모더니스트 정지용은 설득력 높은 책이다. 일본인 연구자의 정지용 분석은 정교한 만큼 신선하다. 야나기하라 야스코란 이름을 윤동주와 관련하여 알게 된 이래 다시 한 사람의 참신하고 신뢰할 만한 연구자를 알게 되어 다행이고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