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와 칼‘의 저자 루스 베네딕트는 앤 싱글턴(Anne Singleton)이라는 필명을 썼다.

역사 및 젠더학 교수인 로이스 배너(Lois Banner; 1939 - )는 싱글턴을 싱글 톤(single tone)으로 읽을 수 있다고 말한다.

베네딕트의 시 가운데 ‘유니콘(일각수)과 일출‘이 있다. 이 시는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희곡 ‘별에서 온 일각수‘에 응답해 지은 작품이다.

이 시는 베네딕트가 장미 십자회원들의 신지학 분파인 황금 여명회(Order of the Golden Dawn)라는 신비주의 교단에 모종의 방식으로 연루되어 있었음을 말해준다.

베네딕트는 당대의 다른 여성 시인들과 달리 자신의 시편에서 1인칭 단수를 사용한 적이 없다.

그녀는 남성의 목소리로도 노래하고 여성의 목소리로도 노래했다. 유니콘은 신비주의 전통에서 성별 횡단과 남녀 양성의 영혼을 상징한다.

버지니아 울프는 ˝둘이 조화를 이루며 고상하게 협력할 때 존재는 비로소 정상적이고 편안한 상태에 놓인다.

남자라도 여성적 뇌가 틀림없이 영향을 미친다. 여자도 그녀 안의 남자와 관계를 맺는다.˝는 말을 했다.(‘마거릿 미드와 루스 베네딕트‘ 참고)

로이스 배너의 책에서 눈에 띄는 것은 버지니아 울프의 말이다. 남자라도 여성적 뇌가 틀림없이 영혼을 미친다는 말이다.

시인 윤동주를 생각하게 된다. 책에 좀체 밑줄을 치지 않았고 술자리에서조차 흐트러진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사람.

책 속에 마른 꽃이나 단풍잎을 끼워넣었고 시적 긴장을 위해 말을 아꼈고 침착한 어조와 내용으로 웅변대회에서 1등을 한 사람.

가필, 정정의 흔적을 찾기 어려운 시/ 몇 달, 몇 주를 두고 머릿 속에 간직해 두며 갈고 다듬은 완전한 시를 쓴 사람.

축구 선수로도 뛰었고 재봉틀도 잘 한 사람. 유순하고 다정했으면서 지조와 의지는 굳고 강했던 사람.

스스로 설정한 절대적 양심과 실제적 자아 사이에 존재하는 현격한 괴리를 괴로워하며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바랐던 사람..

이런 윤동주를 단지 양성이 조화롭게 통합된 사람이었다고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그는 그 이상의 완전한 인격을 갖춘 사람이었다고 말해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