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과도공간(過渡空間; espace transitionnel) 즉 심리변화가 일어나는 장소로 이곳에서 정신세계와 외부세계가 서로 만나면서 변화가 일어난다.˝

창조적 독서 치료사 레진 드탕벨의 ‘우리의 고통을 이해하는 책들‘에 나오는 말이다.(80 페이지)

과도공간이란 영국의 소아과 의사/ 아동 정신분석가인 도널드 위니캇이 말한 중간 대상과 같은 말이다.

[과도(過渡)라는 말은 지나침을 뜻하는 과도(過度)로 잘못 받아들여질 여지가 있으니 전이(轉移) 또는 천이(遷移)라 하면 어떨까? 더 어려운가?]

어떻든 중간 대상이란 유아가 일차적 애정 대상으로부터 감정을 분리해가는 과정에서 특별히 애착을 갖는 부드러운 담요, 수건, 장난감 등의 물건을 가리킨다.(결국 버려야 할 것들 즉 애착을 거두어들여야 할 것들이다.)

도널드 위니캇은 멜라니 클라인, 월프레드 비온 등과 함께 병리현상을 일으키는 환경문제와 사회문제를 동시에 주목하면서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과 임상을 수정, 확대, 재구성한 정신분석가이다.(‘헬조선에는 정신분석‘ 196 페이지.. 홍준기 교수 글)

(이 정도의 글이 우리의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는 듯 하다. 최신 논의가 그렇게 빨리 반영되기는 어렵겠지만 아쉬운 부분이다.)

잠시 미국의 미디어 학자 닐 포스트먼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그는 인쇄 시대의 개막과 함께 독서 능력을 갖추고 책을 읽은 성인과 그런 능력을 갖추지 못한 어린이 사이에 질적 차이가 생겼다고 말하며 그렇게 책을 읽지 못해 지식이 제한된 사람들을 가리키기 위해 어린이라는 말이 만들어졌다는 말을 한 바 있다.

책은 심리변화가 일어나는 과도 공간이라는 드탕벨의 말과, (과거에) 책을 읽을 수 있는 능력 여부가 어른과 어린이를 가르는 기준이 되었다는 포스트먼의 말 사이에는 묘한 차이가 있다.

정신분석을 옹호할 필요가 내게 없지만 지난 토요일(11월 18일) 나는 심리상담사를 만난 자리에서 현대 정신분석학은 프로이트로부터 소스(source)를 취해 그로부터 거듭 벗어나고자 하는 학문이라는 말을 했었다.

책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의 지성을 만들어주는 바탕이지만 평생에 걸쳐 창조적으로 배반해야 하는 대상이 아닐지?

책이란 강을 건너면 버려야 하는, 붓다가 말씀하신 뗏목과 같은 것이란 점이 내 생각이다.(˝대학을 떠나기가 두려웠다.˝는 기형도 시인의 말은 뗏목을 버리기가 두려웠다는 말로 볼 수 있다.)

누구든 그것이 인생(c‘est la vie)이라고 섣불리 말할 수 없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