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 울프, 실비아 플라스, 스테판 츠바이크, 발터 벤야민, 로맹 가리, 프리모 레비, 미시마 유키오, 마크 로스크,

빈센트 반 고흐, 루드비히 볼츠만, 질 들뢰즈, 아서 쾨슬러, 스콧 니어링, 오토 바이닝거, 쿠르트 괴델...

이 분들은 자살로 삶을 마친 유명 문인, 화가, 철학자, 사상가 들이다. 우울증 자료를 찾다가 알게 된 사실이다.

아서 쾨슬러(작가), 스콧 니어링 등의 자살은 의외이고 음식에 누가 독을 넣었다는 생각에 아내가 만들어준 음식만을 먹다가 아내가 입원하자 음식을 먹지 않아 아사(餓死)한 쿠르트 괴델의 죽음을 자살로 보아도 되는지는 논란 거리이다.

우울증으로 자살한 사람을 찾다 보니 어느 사이 그냥(?) 자살자와 섞여 뒤죽박죽이 되었다.

사실 우울증으로 자살한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의 원인을 확정하는 데에 어려운 부분이 있을 것이다.

우울증을 보는 시각에 몇 가지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우울증을 마음의 감기라 표현하는 것이 그 하나이다.

이런 표현은 우울증이 흔한 것이라는 주장이 담긴 것이지만 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다 보니 심각성을 환기시키지 못하거나 가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면 당장 눈에 보이는 환경적 요인에서 원인을 찾는 것의 문제점은 크리스티앙 스파돈(정신과 의사)이 지적했다.

가장 심각한 사건이 반드시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마지막 한 방울의 물이 잔을 넘치게 하는 것처럼 이전에 일어난 일들이 풀리지 않고 쌓여 있는 상태에 아주 사소한 사건이 더해져 우울증이 생길 수도 있다.(‘우울증을 어떻게 이길까?‘ 21 페이지)

라캉주의 정신분석가 대니언 리더는 우울증이 우울증을 앓는 사람 만큼이나 복합적이고 다양하다는 주장을 한다.

리더는 무감각, 불면증, 식욕상실과 같은 표면 현상들 사이에는 중대한 차이가 존재하고 이런 상태를 발생시키는 근본 문제들은 대개 우리의 의식적 자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고 말한다.(‘우리는 왜 우울할까‘ 25 페이지)

우울증을 은유로 표현하라면 안개 같은 병이라 말하고 싶다. 삶에서 명확한 정리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여러 요인을 고려하고 길게, 끈기 있게 보는 것도 필요하다.

어떤 종류의 우울이든 사회적이라는 평론가 강계숙 님의 견해에 동의한다.

‘우울의 빛‘이란 평론집에서 여느 작가, 시인 못지 않게 절절하게 우울증을 고백한 강계숙 님의 근황이 궁금하다. 우울에도 빛이 있다는 그의 주장을 듣고 많은 분들이 힘을 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