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명절이다. 힘들게 귀성길에 오르는 사람들의 고난의 행군은 올해라고 예외는 아니다. 추석 연휴이지만 나는 올해 설 연휴 시작일인 1월 26일 창덕궁에 갔다 온 생각이 난다.

명절에 궁궐에 다녀온 것은 문화재를 사랑하는 마음이 특별해서는 아니다. 정조의 능인 건능이 있는 화성에까지 갈 수 없어 정조와 깊은 연관이 있는 창덕궁, 특히 후원에 들러 인사라도 할 생각에서 다녀온 것일 뿐이다.

정조에게 인사를 하게 된 것은 별다른 사연이 있어서는 아니다. 정조 이야기를 설정한 것이 잘된 선택이었다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

아들 문효세자를 곁에 두기 위해 중희당을 지은 이야기, 상조회(賞釣會; 상화조어회賞花釣魚會)를 만들어 규장각 신하들과 창덕궁 후원에서 술잔을 기울이고 꽃구경을 하고 낚시를 하며 시를 지은 이야기 등 정조의 사연을 택해 좋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명절을 즈음해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 호칭 불평등 또는 호칭 비대칭이다. 아내는 남편의 남자 동생을 도련님이라 부르는 데 비해 남편은 아내의 남자 동생을 처남이라 부르는 것이 대표적이다. 처남 대신 남편이 아내의 남자 동생을 부르는 존칭이 있는지 모르겠다.

조선 왕실 공부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열에 관심이 간다. 창경궁 공부를 할 때도 그런 점이 대두된다. 창경궁은 성종이 세조의 비인 정희왕후 윤씨(할머니), 예종의 비인 안순왕후 한씨(작은 어머니), 추존왕인 덕종 비인 소혜왕후 한씨(어머니) 등 세 분의 대왕대비를 위해 수강궁 터에 지은 궁궐이다.

아닌 게 아니라 안순왕후와 소혜왕후는 서열을 놓고 갈등했다. 안순왕후는 소혜왕후의 손아래이지만 남편이 왕이 된 경우이고 소혜왕후는 손위이지만 남편이 왕이 되지 못하고 죽은 뒤 아들(성종)에 의해 추존 왕이 된 경우이기 때문이다.

손위, 손아래 여부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지 남편이 왕이 되었는지 아닌지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지가 문제이다. 창경궁은 정치를 위해 지은 궁이 아니다. 성종이 세 대왕대비를 위해 지은 여성을 위한 궁궐이다.

경복궁과 창덕궁을 비교하는 마음으로 창덕궁과 창경궁을 비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창덕궁과 경희궁을 비교하는 것이 더 실용적이리라.

조선 전기에 경복궁이 정궁이고 창덕궁은 이궁(離宮; 별궁)이었다. 후기에는 창덕궁이 정궁이고 이궁은 경희궁이었다. 사람 사는 곳에 갈등은 없을 수 없다. 그렇지만 아니 그렇기에 현명한 대처가 필요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