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윤선(允善)님이 올린 실상사(實相寺) 사진을 보고 정끝별 시인의 ‘여운(旅雲)’이란 산문집을 찾아보았다.
5월을 맞이하는 실상사, 지리산 뱀사골 아래의 그 절 연못에 수련(睡蓮)이 떠 있는 사진을 보고 경복궁 향원정, 종묘(宗廟)의 하지(下池), 중지(中池), 상지(上池) 등의 연못 생각을 했다.
여담이지만 내 사는 연천을 漣川이 아닌 蓮川이라 쓴 현판을 단 한 문화 단체를 보고 연꽃을 사랑하는 마음이 간절해 그런 것이겠거니 생각했다. 맞거나 말거나..
‘여운’에는 우포 이야기도 있다. 실상사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그곳에 들렀다. 마음으로만. 실상사는 지리산 뱀사골 아래에 있는 절이다. 고정희 시인이 이곳 뱀사골 계곡에서 실족사했다.
‘2003년에 나온 ‘여운’이란 책은 여행지와 관련된 시를 소개하는 책이어서 시도 익히고 여행지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게 한다.
손남숙 시인의 시집(‘우포늪’)과 산문집(‘우포늪, 걸어서’)이 반영되기에는 너무 앞서 나온 책이다.
‘우포늪’이란 시집에 실린 시 제목들만 보아도 우포늪의 정경이 그려지는 듯 하다. ‘늪의 수레바퀴’, ‘꽃과 새들이 열람하는 우포늪’, ‘달에 가는 달뿌리풀’, ‘새들의 배경은 물결’....
여름 우포늪의 백미(白眉)라는 가시연꽃을 보려면 내년을 기약할 수 밖에 없겠다. 아니 내 사정이 되어야 여행도 할 수 있겠다.
그제는 숲해설사 공부를 하는, 나의 문화해설사 동기가 레이첼 카슨의 ‘잃어버린 숲’을 숲해설사들의 바이블 같은 책이라 이야기하기에 숲 공부를 하지 않지만 참고로 삼기로 했다.
그리고 오늘은 트리스탄 굴리(작가이자 내비게이터, 탐험가)의 ‘산책자를 위한 자연수업’이란 책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부제는 ‘우리 주변에 널린 자연의 신호와 단서들을 알아보는 법’이다.
말하기, 듣기, 보기 등 세 가지 핸디캡을 가졌던 헬렌 켈러가, 못 보는 것은 자신을 사물과 멀어지게 했고 듣지 못하는 것은 자신을 사람과 멀어지게 했다며 듣지 못하는 것이 더 힘들다는 말을 한 기억이 난다.
자연의 신호와 단서들이란 말 때문에 생각해낸 사실이다. 자연(自然)을 생각으로만 향유(享有)하는 버릇은 깨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