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情動)하는 청춘들’...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1527 -1572)의 정(情) 중심적 인간 분석과 정적(情的) 교감의 원리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작업을 하나의 문제 의식으로 설정한 ‘성리학자 기대승 프로이트를 만나다’를 읽는 내게 펑, 하고 나타난 신간이다.

‘성리학자 기대승 프로이트를 만나다’의 저자는 프로이트의 사랑과 죽음이라는 두 개의 본능을, 기대승의 칠정(七情)을 축약한 것으로 설명한다. 의도한 결과가 아니라 그런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는 의미이겠다. 프로이트가 기대승의 학문을 알았을 리 없기 때문이다.

권명아 교수는 “번역어로서도 공통어를 갖지 못한 개념“인 정동(affect)이 무엇인가 묻기보다 그것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또는 어떻게 다른 것에 의해 정동되는가란 문제의식을 갖겠다는 말을 했다.

권명아 교수는 외로움은 자기 안의 풍경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단지 내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기보다 누군가와, 무엇인가와 이어지고 포함되어 있느냐의 여부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본다.(‘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 15, 16 페이지)

이 부분에서 생각할 사람이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1882 -1960)이다. 이 분은 사랑과 미움을 본능이 아닌 대상과의 감성적 관계에서 생겨나는 인간 감성의 핵심적 요소로 본 정신분석학자이다.

이정우 교수는 관념과 감정(affectus)을 구분한 스피노자를 설명한다.

affectus를 정(情)으로 번역할 수 있지만 보다 동사적으로 번역해 정동(情動)으로 번역할 수 있다고 말하는 이정우 교수는 어떤 실체가 다른 실체를 지각 또는 표상함으로써 갖게 되는 것이 관념이고 이 관념이 계속 바뀌면서 새롭게 생겨나는 것을 감정/ 정동으로 설명한다. 감정/ 정동은 관념에 의존한다.(‘주름 갈래 울림’ 76 페이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면 감정/ 정동은 상승하고 까칠한 사람을 만나면 감정/ 정동은 하강한다.

멜라니 클라인은 프로이트 정신분석을 수정, 보완, 확대해 개인과 환경 사이의 변증법을 가장 이론적인 방식으로 정립한 최초의 분석가이다.(홍준기 외 지음 ‘헬조선에는 정신분석’ 205 페이지)(홍준기 님의 ‘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은 언제 읽지?)

‘자본과 도시, 그 경험의 소우주’, ‘갑을관계와 전도된 경제외적 강제, 새로운 신분제의 등장?’, ‘나쁜 시대의 좋은 소설’, ‘정동의 리좀’, ‘공허한 주체에서 벗어나기’..‘정동(情動)하는 청춘들’에서 와락 관심을 끄는 글들이다. 활연관통(豁然貫通)이란 말을 떠올리는 아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