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미라는 본명을 가진 최연 시인의 갤러리 엠에서의 ‘그림에 들다‘ 전시회가 23일(수요일) 17시 30분 오픈된다고 들었다.

전시 장소가 인사동 소재의 갤러리여서 좋다. 그곳에 들고 갈 시집을 사기 위해 물은 몇몇 서점들로부터 하나 같이 그 책은 매장에 없어 주문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무슨 중요한 일이라도 하는 것처럼 책을 주문해서 배송받지 않고 직접 가서 받아야 그날 가지고 갈 수 있기에 마음썼는데 종로 반디앤루니스가 있던 곳에 새로 들어선 종로서적을 통해 내일 이후 책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다행이다.

어제 모임 후 가본 이 종로서적은 예전 그 종로서적이 아니라고 한다. 지난 해 12월 14년만의 부활이라는 소리를 들으며 옛 반디앤루니스 종로점 자리에 들어선 현 종로서적은 옛 종로서적 창시자 가족과 아무 연관이 없이 이름만 같은 서점이라는 뜻이다.

반디앤루니스 지점들 중 접근성이 가장 좋은 종로점이 문을 닫은 후 찾기 어려운 사당, 잠실, 목동점 등에 가느라 힘이 많이 들던 차에 종로서적이 들어서게 되어 반가웠는데 어제 가보니 서점이라기보다 책도 파는 팬시점 같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교보도 영풍도 그러니 그런 흐름이 대세인 것 같다. 듣기로 서울의 대형서점들이 출판사로부터 돈을 받고 목 좋은 자리의 매대에 책을 진열시키게 한다고 한다.

이것이 문제인 것은 결국 돈이 많은 출판사가 만든 질 낮은 책이 가난한 출판사가 만든 양질의 책을 팔리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물론 매대를 사는 출판사도 고육책으로 즉 적자를 감수하며 그렇게 하고 있으니 출판계는 이제 끝났다는 탄식은 충분히 공감을 산다.

나는 눈에 잘 띄는 매대가 아닌 구석 구석의 책들을 적극적으로 찾는데 그렇다고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하기를 바랄 수는 없다.

우리나라에서 일주일(토, 일 제외한 5일)에 나오는 책은 1000종이라고 한다. 이러니 선택되지 않고 폐기되는 책들이 많으리라는 것은 분명하다.

나의 책 구매 지침은 좋은 책들이 조금이나마 더 많이 빛을 보아야 한다는 당위에 근거한 것이다.

책만이 지식의 원천은 아니지만 진득하게 사유할 수 있는 것은 책이 유일하지 않은지? 그럴 리 없겠지만 우리의 이런 불합리한 출판계의 관행 때문에 가볍게 즐기기에 적당한 책들만 남는 세상이 된다면 어쩌겠는가.

가치 없는 획일적인 세상이 될 것이다. 인터넷을 통해서 책을 구입하면 낭패를 겪기도 한다고 한다. 그래서 오프라인 매장을 찾아 내용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막상 가서 보면 찾는 책이 없어 주문하고 집에서 받아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를 두고 오프라인 매장이 있는 의미가 무엇인가 묻는 사람들도 있다고 들었다.

바쁘겠지만 발품을 팔아 국립중앙도서관 같은 곳에 들러 내용을 확인하고 책을 선택하는 것은 어떨까?

도서관이 많아지는 것을 토건 중심 정책이라 해서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책을 좋아하는 입장으로는 빌릴 수 있는 책 권수도 성에 차지 않고 새 책 구매 신청 권수도 있으나마나인 수준이어서 미흡하기만 하다.

정부와 출판계 차원의 대책이 마련되겠지만 그것과 무관하게 독자들이 책좀 많이 읽고 쉬운 책보다 인문학의 무게감 있는 원전들을 많이 읽어야 하는 것이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