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여행을 하지도 않았으면서 가본 사람은 물론 그곳에 살던 사람들보다 더 정확하게 프랑스 파리를 서술했다는 칸트. 그가 다시 흥미를 자극한다.

전쟁(2차 대전) 때문에 적국 일본을 방문할 수 없어 간접 자료들만으로 정확한 일본 분석서인 ‘국화와 칼‘을 쓴 루스 베네딕트, 피에르 바야르의 ’여행하지 않은 곳에 대해 말하는 법‘과 함께 생각해볼 문제이다.

바야르는 예의 그 칸트 이야기를 한다. 바야르에 의하면 칸트는 한 번도 고향 쾨니히스베르크를 떠난 적이 없는 사람이다.

그리고 언제나 동일한 도정(道程)을 따라 산책했지만 낯선 나라들에 대한 묘사와 해설을 한 사람이다. 바야르는 자신의 책을 칸트에게 바친다고 말한다.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를 내세웠던 칸트는 신비주의 신학자인 스베덴보리가 놀라운 초능력을 보이자 처음에는 인정했다가 한 발 뒤로 물러선다.
그는 스베덴보리가 펼치는 형이상학이 도덕 신학적 관점에서 가질 수 있는 의의만을 인정했다. 칸트는 상상력의 소산은 지성적 판단에 의해 검토되고 규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베덴보리는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서 발생한 대화재를 480km나 떨어진 곳에서 생중계 하듯 설명했다.(설명이 사실과 놀랍도록 일치했다고 함)

스베덴보리는 스웨덴 사람이다. 헬렌 켈러도 소속되었던 새 교회/ 예루살렘 교회의 이론가인 스베덴보리의 ’천국과 지옥‘ 등의 책은 성경 만큼이나, 어떤 때는 성경 이상의 참고서로 통한다는 느낌을, 1년여 시간을 마지못해 동참하며 받았다. 지난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의 일이다.

칸트가 열하(熱河)를 여행한 연암(燕巖)처럼 외국 여행을 할 기회를 얻었다면 열하일기 같은 여행기를 썼을까? 칸트는 왜 한 번도 쾨니히스베르크 밖을 여행하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