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페북이 글감의 단서들이 펄럭이는 광장 같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최근 이런 내 생각을 확인하게 하는 글을 두 편 읽었다.
하나는 며칠 전 읽은 다수 한국 교회의 블랙리스트란 글로 오래 전 관심을 가지고 읽었던 저자도 있어 흥미를 가지고 읽었다.
칼 바르트는 만유구원론 자유주의자이고 위르겐 몰트만은 삼신론이란 이단론을 펼친 신학자라는 것이고,
‘나니아 연대기‘의 저자이기도 한 C.S 루이스는 진화론자이고 존 스토트는 영혼멸절설을 믿는 지옥불신자이고 레슬리 뉴비긴은 세계교회협의회인 WCC에 속한 다원주의자이고,
톰 라이트는 믿음으로써 의롭게 된다는 이신칭의 교리를 거부하는 신학자 즉 반펠라기우스주의자이고 헨리 나우웬은 가톨릭 이단 및 동성애 지지자이고 유진 피터슨은 동성애 지지자라는 것이다.
이 글을 올린 목회자는 이단으로 찍힌 저 신학자들을 좋아하는 자신은 무엇인가란 물음과 함께 이제 마녀사냥은 더는 있어서는 안 된다는 설명을 더했다.
언급된 저 신학자들은 분야가 다르지만 나로 하여금 현상을 다르게 보게 해주는 스승들인 셈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글들(한 게시글에 달린 세 건의 댓글이기에 글들이라 표현)은 어제 읽은 신학서적 표절반대 그룹에 오른 표절에 대한 글이다.
결국 열심히 공부해서 자신만의 이론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박사 논문을 쓰다가 포기한 이유 중 하나가 도저히 새 것으로 300 페이지를 채울 재주가 없어서 하루 종일 단 한, 두 줄 쓰다가 그냥 과감하게 접었다는 것,
새로운 내용을 주장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것을 가져올 때는 형식에 무관하게 무조건 인용을 표시하거나 출처를 밝혀야 한다는 것, 앞선 사람의 글을 몰랐다는 것은 그만큼 연구가 성실하지 못했다는 증거라는 이야기 등이다.
나의 경우 문화해설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표절 여부를 떠나 나만의 것을 추구하다 보니 꽤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다.
가령 경복궁 외전 해설을 할 때 ‘근정전 - 천추전 - 사정전‘이나 ‘근정전 - 사정전- 천추전‘이 아닌 ‘사정전- 천추전- 근정전‘ 코스를 택한 것은 정전에 비해 작은(또는 격이 낮은) 편전에서 보조 편전을 거쳐 앞면 5칸, 측면 5칸의 압도적인 정전을 발단 -전개(반복) - 상승의 고전 음악의 소나타 형식에 견주어 설명하려 한 결과이다.
창덕궁에서는 금천교의 대칭인 두 개의 무지개 다리를 설명하며 날개가 대칭인 나비 사진을 보여주기도 했다.
나의 이론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문제는 익숙한 것이 선호되는 곳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는 점이다. 물론 다른 용도로 쓰일 여지는 언제나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