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언’이란 평론집에서 저자 강계숙 평론가는 미언을 수수께끼에 가까운 말(謎言), 미혹하게 하고 매혹시키기도 하는 말(迷言), 미래의 어느 때엔가 완성될 말(未言), 작고도 아름다운 말(微言, 美言) 등으로 풀었다.
안성재 교수의 ‘노자, 정치를 깨우다’란 책에 미언이란 말이 나온다. 이 말은 미언대의(微言大儀) 즉 짧은 말 속에 심오한 의미를 가진 말의 줄임말이다.
강계숙 평론가가 노자의 이 미언대의에서 영감을 얻었을 수도 있지만 그의 전개가 微言 하나에 국한된 것이 아님이 중요하다.
요즘 페이스북의 정치 만화(萬花/ 滿花)를 보며 안성재 교수의 말을 생각하게 된다. ‘도덕경’은 정치 텍스트로서 이례적으로 짧은 축약형의 문장을 가진 텍스트라는 말이다.
모든 것이 정치적이고, 정치를 싫어하는 사람도 정치를 통해서 원하는 바를 얻어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보면 ‘도덕경’이 정치 텍스트라는 말은 고무적이다.
단 ‘도덕경’의 정치는 대동(大同)의 덕(德)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도덕경’의 정치적 독해는 해명하고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다.
요즘 한창 벌어지는 반민주세력의 정치적 패악을 보면 기본적으로 잘못된 정치의식과 왜곡된 계급 의식 탓이지만 심성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래 저래 정치 이야기가 페이스북의 대종(大宗)을 이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가운데 정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야기를 주로 하는 분들이 있어 그나마 다양성이 유지됨을 생각하면 다행이다 싶다.
내게는 모든 분들이 배울 분들이다. 물론 타산지석의 사례들도 있다. 좋아지고 있는 세상을 바라보며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이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