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들은 자꾸 나를, 그리고 다른 여자들을 가르치려 든다. 자기가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든 모르든. 어떤 남자들은 그렇다." 리베카 솔닛(Rebecca Solnit; 1961 -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의 핵심 구절이다. 맨스플레인(mansplain: man + explain)이란 말은 그런 현상을 지칭하는 말이다. 남자가 여자에게 잘난 체 하며 아래 사람에게 말하듯 과시하듯 설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솔닛은 여성이 자신이 잉여라는 생각과의 전쟁, 침묵하라는 종용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고 말한다. 유명 작가인 저자 역시 그 전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니 그런 지위를 얻지 못한 여자들이 얼마나 힘들고 고통스럽고 수치심을 느낄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저자는 그간 많은 여자들은 자꾸 여자를 가르치려 드는 남자들과의 싸움에서 짓밟혔다고 말한다.

 

진부한 말이지만 동서고금에 걸쳐 두루 해당하는 바이다. 여성들을 가르치고 무시하는 맨스플레인은 차별과 배제, 성폭력 등으로 이어진다. 아니 그런 일방적 언사는 여성이 받는 차별과 배제의 한 요소이다. 물론 저자도 말했듯 여자들도 이따금 남자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려 든다. 그러나 이는 젠더간의 힘의 현저한 격차를 반영하는 것도 아니고 젠더의 사회적 작동방식에 드러나는 거시적 패턴을 반영한 현상도 아니다.

 

남자들 가운데 여자의 말을 이해하고 차분하게 반응하는 경우도 있다.(27 페이지) 물론 저자는 몰랐던 사실을, 그 내용을 잘 아는 상대가 설명해주는 것은 아주 좋아한다고 한다.(29 페이지) 리베카 솔닛의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는 같은 제목의 글을 포함해 '가장 긴 전쟁', '위협을 칭송하며: 평등 결혼의 진정한 의미' 등 아홉 편의 글을 담은 책이다.

 

여성이 당하는 폭력과 차별을 논한 페미니즘적 아니 인권 차원의 글이지만 맨스플레인만을 이야기한 책이 아니다. 맨스플레인 현상만을 다루었다면 심도가 있었을 텐데 아쉽다. 수록 글을 소개할 때 언급한 평등 결혼(marriage - equality)은 저자에 의하면 동성 결혼(same - sex marriage)이란 말을 대체한 말이다.(92 페이지)

 

저자는 이를 동성 커플과 이성 커플의 평등을 의미함은 물론 결혼이란 평등한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라 설명한다. 저자는 여성의 비존재화를 거론한다. "지난 수천년 동안 여자들이 공적 영역에서, 계보도에서, 법적 신분에서, 목소리에서, 삶에서 사라진 것은 뭐라고 불러야 할까?"(111 페이지)

 

저자의 글솜씨는 인상적이다. 자신이 젊었을 때 드넓은 캠퍼스에서 여학생들이 강간을 당하자 대학 측이 여학생들의 일몰 후 외출 금지를 권고하자 한 장난꾸러기들이 일몰 후 캠퍼스에서 남자를 몽땅 몰아내자는 처방을 제시했고 이에 남자들이 겨우 한 남자의 폭력 때문에 모든 남자더러 사라지라는 것에 대해 충격을 표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여자들은 더 많은 영역(공적 영역에서 삶까지)에서 사라진 것은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말을 한 것이다.

 

저자는 어떤 여자들은 한 번에 조금씩 삭제되고 어떤 여자들은 단번에 몽땅 사라진다고 말한다. 저자는 그물을 짜되 그물에 걸리지 않는 것, 세상을 창조하는 것,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것, 자신의 운명을 다스리는 것, 아버지들만이 아니라 할머니들을 호명하는 것, 직선만이 아니라 그물을 그리는 것, 청소부만이 아니라 제작자가 되는 것, 침묵당하지 않고 노래하는 것, 베일을 걷고 모습을 드러내는 것들이 자신이 빨랫줄에 너는 현수막들이라 말한다.(118 페이지)

 

저자의 글은 유려하다. "절망은 확실성의 한 형태다. 미래가 현재와 거의 같거나 현재보다 쇠락하리라고 믿는 확실성이다."(134 페이지) 같은 말이 그렇다. 이 글이 들어 있는 '울프의 어둠'이란 글은 문학적 수사로 가장 화려하게 펼쳐지는 글이고 가장 성찰적이며 맨스플레인과 일정 정도 거리가 있는 글이다.(울프란 버지니아 울프를 말한다.)

 

울프는 공식적, 제도적, 이성적 해방이 아닌 익숙한 것, 안전한 것, 알려진 것을 넘어서 좀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가는 해방을 칭송했다. 저자는 울프의 '자기만의 방'을 언급하는데 저자에 의하면 울프는 여성에게는 자기만의 방과 돈만이 아니라 대학과 전세계도 필요하다는 말을 했다.(144 페이지)

 

저자는 울프를 몇몇 구체적인 사회 변화를 요구했다는 점에서 혁명가로 평한다. 울프에 비견될 또 하나의 이슈적 여성이 카산드라이다. 트로이 왕의 딸 카산드라는 정확하게 예언할 줄 알지만 아무도 그 말을 믿어주지 않는 저주에 걸린 인물이다. 카산드라는 여성, 그리고 저자가 처한 입지를 상징한다.

 

맨스플레인이 남성이 여성에 대해 가르치고 여성을 무시하듯 말하는 것이라면 카산드라의 입장에 선 여자는 말할 권리를 봉쇄당하고 말할 자격이 있는지 의심받는 여자의 운명을 상징한다.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은 레이첼 카슨으로 하여금 히스테릭하다는 말을 듣게 했다. 자궁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히스테리는 여성차별적, 비과학적 말의 대명사이다.

 

"말을 꺼내는 것, 말과 말하는 사람이 주목받고 존중받게 만드는 것은 여전히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 중 하나이다."(157 페이지) 프로이트는 자신의 환자들이 괴로움은 말로 표현하는 것을 인정하다가 환자들의 말을 믿는다면 모든 사례에 대해 자신의 아버지를 포함한 모든 아버지들에게 도착적이라는 비난을 가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딜레마에 빠졌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주디스 허먼이 '트라우마'에서 썼듯 프로이트는 여성 환자들의 말을 듣기를 그만두었다. 프로이트는 여자들이 불평하는 성적 학대의 경험을 그녀들 스스로가 상상하고 갈망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T. M 루어먼(Luhrmann)은 인도에서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집 청소를 하라는 환청을 듣곤 하는 반면 미국의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폭력적인 행동을 하라는 말을 듣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했다.(178, 179 페이지) 문화의 차이를 반영하는 괴리이다.

 

우리 시대의 여성 증오라는 문화를 언급할 상황이다. 저자에 의하면 언어는 힘이다.(189 페이지) 맨스플레인, 카산드라, 프로이트의 여성 환자들에 이어 언어에 대한 저자의 깊은 관심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언어는 의미를 드러낼 수도 있고 묻어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양날의 칼이다.

 

저자는 맨스플레인 이야기가 결국 강간과 살인에 대한 이야기로 끝남을 이야기하며(197 페이지) 여성 혐오의 다양한 양태들을 구획하여 각각 별도로 다루기보다 그 비탈 전체를 이야기해야 함을 주장한다.(198 페이지)

 

페미니즘은 어쩌면 대부분이라고 해도 될 만큼 문화에, 셀 수 없이 많은 조직에, 세상 대부분의 가정에, 무엇보다도 모든 것이 시작되고 끝나는 우리의 마음에 깊이 뿌리내렸을 뿐 아니라 아주 오래되고 광범위하게 퍼진 무언가를 바꾸려는 노력이다.(206 페이지)

 

변화에는 시간이 걸린다(206 페이지)고 말하는 저자는 아직 갈 길이 머나멀지만 우리가 그동안 얼마나 멀리 걸어왔는지 돌아본다면 힘이 날 것이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한다.(212 페이지) 저자에 의하면 여성은 영원한 주제(subject)이다. 이때 주제란 말은 종속, 또는 예속, 심지어 속국과 거의 같은 말이다.(221 페이지) 페미니즘을 인간 전체를 바꾸려는 노력으로 정의하는 저자는 점점 더 많은 남자들이 페미니즘에 관여하고 있음을 환기시킨다.(225 페이지)

 

마지막 말이 인상적이다. 화룡점정이라 할 그것은 사람다운 세상을 만드는 전쟁에서 사람들은 죽을지언정 생각들은 지워지지 않는다(227 페이지)는 말이다. (은 글들로 여러 주제를 다루었으나 언어 문제를 포함한 페미니즘으로 수렴하는 이야기이)고 전투적이되 격조 있고 필치가 인상적인 리베카 솔닛의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